암환자의 불충분한 의사와의 면담시간이 치료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대병원 건강증진센터 신동욱 교수·성균관의대 박재현 교수·국립암센터 연구팀은 9개 국립대병원 암센터에 내원한 2556명의 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불충분한 의사와의 면담시간이 암 진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했다.
이 결과 환자들이 느끼는 평균진료상담 시간은 7.1분이며 환자들이 선호하는 평균진료상담 시간은 9.1분으로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또 전체 응답자 중 37.1%(985명)가 의사와의 면담이 불충분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이를 토대로 연구팀은 암생존자들이 의사와의 면담시간이 충분치 못하다고 느낄 때 나타나는 문제에 대해 분석했다.
이 결과 젊은 환자, 여성 환자, 고학력자 환자군 일수록 진료면담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경향이 강했다.
의료진은 그 이유에 대해 환자들이 본인의 항암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데 의사를 반영하고자 하는 성향이 강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또 한국인들에게 흔하게 발생하는 6대 암인 위암, 폐암, 간암, 직결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이외의 암을 가진 환자군도 6대 암을 가진 환자군에 비해 진료면담 시간이 부족하다는 느낌을 갖고 있었다.
이는 일반인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암 정보와 환우회와 같은 환자자조모임이 대부분 6대 암에 편중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환자가 의사와의 면담시간이 불충분하다고 느끼는 경우에는, 암에 대한 정보 요구도가 더 높았다. 또한 항암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식욕부진, 피곤, 피부홍조, 쑤심, 탈모와 같은 신체적 증상이나 우울증과 같은 정신적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담당 의사에 대한 신뢰도와 진료에 대한 만족도 저하로 이어져서, 다니는 병원을 계속 다니고자 하는 의욕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서울대병원 신동욱 교수는 "최적의 암 치료를 위해서는 환자의 주관적인 요구사항을 충분히 고려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면담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만큼 이를 제도으로 뒷받침해야 한다"며 "시간당 많은 환자를 볼 수밖에 없는 국내의 의료 현실을 감안할 때, 직접적인 암 치료 이외의 전반적인 건강관리나 심리 상담에 대한 요구는 암전문의와 이외의 의료진에 의한 다학제적 협진을 통하여 충족시키는 것도 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연구에 참가한 병원은 강원대, 충북대, 충남대, 전북대, 화순전남대, 경북대, 부산대, 경상대, 제주대병원이며 18세 이상으로 암 진단 후 4개월 이상 경과된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번 연구 결과는 저명 국제 학술지인 '암에 대한 지지 치료 (Supportive Care in Cancer)'에 지난 10월에 발표했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의학전문기자
서울대병원 건강증진센터 신동욱 교수·성균관의대 박재현 교수·국립암센터 연구팀은 9개 국립대병원 암센터에 내원한 2556명의 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불충분한 의사와의 면담시간이 암 진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했다.
이 결과 환자들이 느끼는 평균진료상담 시간은 7.1분이며 환자들이 선호하는 평균진료상담 시간은 9.1분으로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또 전체 응답자 중 37.1%(985명)가 의사와의 면담이 불충분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이를 토대로 연구팀은 암생존자들이 의사와의 면담시간이 충분치 못하다고 느낄 때 나타나는 문제에 대해 분석했다.
이 결과 젊은 환자, 여성 환자, 고학력자 환자군 일수록 진료면담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경향이 강했다.
의료진은 그 이유에 대해 환자들이 본인의 항암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데 의사를 반영하고자 하는 성향이 강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또 한국인들에게 흔하게 발생하는 6대 암인 위암, 폐암, 간암, 직결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이외의 암을 가진 환자군도 6대 암을 가진 환자군에 비해 진료면담 시간이 부족하다는 느낌을 갖고 있었다.
이는 일반인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암 정보와 환우회와 같은 환자자조모임이 대부분 6대 암에 편중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환자가 의사와의 면담시간이 불충분하다고 느끼는 경우에는, 암에 대한 정보 요구도가 더 높았다. 또한 항암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식욕부진, 피곤, 피부홍조, 쑤심, 탈모와 같은 신체적 증상이나 우울증과 같은 정신적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담당 의사에 대한 신뢰도와 진료에 대한 만족도 저하로 이어져서, 다니는 병원을 계속 다니고자 하는 의욕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서울대병원 신동욱 교수는 "최적의 암 치료를 위해서는 환자의 주관적인 요구사항을 충분히 고려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면담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만큼 이를 제도으로 뒷받침해야 한다"며 "시간당 많은 환자를 볼 수밖에 없는 국내의 의료 현실을 감안할 때, 직접적인 암 치료 이외의 전반적인 건강관리나 심리 상담에 대한 요구는 암전문의와 이외의 의료진에 의한 다학제적 협진을 통하여 충족시키는 것도 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연구에 참가한 병원은 강원대, 충북대, 충남대, 전북대, 화순전남대, 경북대, 부산대, 경상대, 제주대병원이며 18세 이상으로 암 진단 후 4개월 이상 경과된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번 연구 결과는 저명 국제 학술지인 '암에 대한 지지 치료 (Supportive Care in Cancer)'에 지난 10월에 발표했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의학전문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