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식품업계는 원부자재값 상승에 따른 '제품 가격 인상'을 놓고 정부와 지속적인 줄다리기를 펼쳤다. 먼저 정부는 물가안정을 위해 올라가려는 가격을 잡는데 안간힘을 썼다. 농림수산식품부와 공정거래위원회 등이 일선에 섰다. 하지만 각 업체들은 '손해 보며 팔 수 없다'는 논리와 '원가 압박'을 이유로 가격 인상을 위해 전방위적인 '힘'을 모았다. 결과는 모두에게 만족스럽지 못한 '무승부'였다. 가격인상에 성공한 기업이 있는 반면 '눈물을 머금은' 기업도 상당수였다.
■설탕·밀가루·제과·우유값 인상
설탕과 밀가루를 만드는 소재 업체들은 지난 3월과 4월 가격을 일제히 올렸다. 수입에 의존하는 원 재료인 원당(설탕의 재료)과 소맥(밀)의 글로벌 가격이 급등했기 때문이다.
CJ제일제당을 비롯해 삼양사, 동아원 등은 설탕 출고가를 평균 9.8% 올렸고, 밀가루 출고가도 평균 8.6% 인상했다.
설탕값이 오르면서 롯데칠성음료는 지난 4월 콜라, 사이다 가격을 5∼10% 올렸다. 5월에는 오리온을 비롯한 롯데제과, 크라운-해태제과, 농심 등이 과자가격 인상에 나섰다.
오리온은 스낵과 비스킷 13개 품목을 11∼25% 올렸고, 농심은 스낵 가격을 8% 인상했다. 해태제과도 24개 품목에 대해 평균 8% 인상을 단행했다.
빙그레는 지난 5월 '바나나맛우유'를 7% 올렸다. CJ제일제당, 풀무원 등 가공식품 업체와 신선식품 업체도 가격인상 대열에 합류했다. 캔햄류 가격이 10∼13% 인상됐고, 두부와 콩나물도 8∼12% 올랐다.
농심은 지난 11월 '신라면'과 '안성탕면' 등 28개 품목의 라면값을 평균 6.2% 인상했다. 2008년 이후 3년여 만에 가격을 올린 것이다.
한 업체 관계자는 "가격 인상을 단행한 업체들도 상승폭에 있어서는 여전히 불만이 많다"면서 "물가안정 정책도 이해하지만 시장 논리와 맞지 않는 정부의 '압박'은 다음번 인상 요인때 '풍선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 쪽을 누르면 다른 쪽이 부풀어 오르는 가격 인상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지난 4월에는 BAT코리아와 JTI코리아가 '던힐'과 '마일드세븐' 등 담배 가격을 8%나 올렸다. 외국계 기업의 담배값 인상은 국내 업체인 KT&G의 시장 점유율 상승으로 이어졌다.
■맥주, 일부 식품·음료 인상 실패
하반기에도 정부와 식품·주류 업체들의 '가격 인상 줄다리기'가 이어졌다. 국내 맥주 시장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는 오비맥주가 대표적이다.
오비맥주는 지난 11월 중순께 맥주가격 9.6% 인상을 추진했다. 감독당국인 국세청과 협의를 통해 가격을 올릴 예정이었다. 하지만 국세청의 '벽'에 부딪혔다. 시장에선 가격인상이 물건너 갔다는 설이 파다했다. 그러나 지난 8일 오비맥주는 맥주값을 11일 출고부터 평균 7.48% 인상한다고 전격 발표했다. 국세청이 다시 긴급 진화에 나섰다. 인상 시기를 늦추라는 것이었다. 오비맥주는 결국 3일 만에 가격 인상을 연기했다. 시기를 조절한다는 선에서 전격 가격인상은 없던 일이 됐다.
롯데칠성음료는 지난달 16일 '칠성사이다'와 '펩시콜라', '게토레이', '칸타타' 등 주력제품을 포함한 20개 품목의 음료가격 인상을 결정했다. 하지만 여론과 정부의 '뭇매'를 맞은 롯데칠성은 10일 만에 가격 인상을 철회했다. 문제는 20개품목 가운데 주력품목 5개만 인상을 철회해 다시 후폭풍을 맞았다. 결국 전 제품의 가격은 원래대로 돌아 갔다.
풀무원식품도 최근 가격인상을 전격 발표했다가 철회했다. 풀무원은 지난 22일 두부, 나물, 어묵 등 153개 제품의 출고가를 평균 7% 인상한다고 보도자료를 냈다. 하지만 이날 저녁 풀무원은 서민경제 부담을 완화하고 설 물가 안정에 기여하기 위해 가격 인상을 유보키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한편 전문가들은 올해 식품업계의 화두였던 가격인상 문제가 2012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 전문가는 "올해 가격인상에 실패했던 업체 뿐만 아니라 인상폭이 적었던 업체들도 가격인상 시기를 앞당길 것"이라고 전망했다.
sdpark@fnnews.com 박승덕 기자
■설탕·밀가루·제과·우유값 인상
설탕과 밀가루를 만드는 소재 업체들은 지난 3월과 4월 가격을 일제히 올렸다. 수입에 의존하는 원 재료인 원당(설탕의 재료)과 소맥(밀)의 글로벌 가격이 급등했기 때문이다.
CJ제일제당을 비롯해 삼양사, 동아원 등은 설탕 출고가를 평균 9.8% 올렸고, 밀가루 출고가도 평균 8.6% 인상했다.
설탕값이 오르면서 롯데칠성음료는 지난 4월 콜라, 사이다 가격을 5∼10% 올렸다. 5월에는 오리온을 비롯한 롯데제과, 크라운-해태제과, 농심 등이 과자가격 인상에 나섰다.
오리온은 스낵과 비스킷 13개 품목을 11∼25% 올렸고, 농심은 스낵 가격을 8% 인상했다. 해태제과도 24개 품목에 대해 평균 8% 인상을 단행했다.
빙그레는 지난 5월 '바나나맛우유'를 7% 올렸다. CJ제일제당, 풀무원 등 가공식품 업체와 신선식품 업체도 가격인상 대열에 합류했다. 캔햄류 가격이 10∼13% 인상됐고, 두부와 콩나물도 8∼12% 올랐다.
농심은 지난 11월 '신라면'과 '안성탕면' 등 28개 품목의 라면값을 평균 6.2% 인상했다. 2008년 이후 3년여 만에 가격을 올린 것이다.
한 업체 관계자는 "가격 인상을 단행한 업체들도 상승폭에 있어서는 여전히 불만이 많다"면서 "물가안정 정책도 이해하지만 시장 논리와 맞지 않는 정부의 '압박'은 다음번 인상 요인때 '풍선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 쪽을 누르면 다른 쪽이 부풀어 오르는 가격 인상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지난 4월에는 BAT코리아와 JTI코리아가 '던힐'과 '마일드세븐' 등 담배 가격을 8%나 올렸다. 외국계 기업의 담배값 인상은 국내 업체인 KT&G의 시장 점유율 상승으로 이어졌다.
■맥주, 일부 식품·음료 인상 실패
하반기에도 정부와 식품·주류 업체들의 '가격 인상 줄다리기'가 이어졌다. 국내 맥주 시장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는 오비맥주가 대표적이다.
오비맥주는 지난 11월 중순께 맥주가격 9.6% 인상을 추진했다. 감독당국인 국세청과 협의를 통해 가격을 올릴 예정이었다. 하지만 국세청의 '벽'에 부딪혔다. 시장에선 가격인상이 물건너 갔다는 설이 파다했다. 그러나 지난 8일 오비맥주는 맥주값을 11일 출고부터 평균 7.48% 인상한다고 전격 발표했다. 국세청이 다시 긴급 진화에 나섰다. 인상 시기를 늦추라는 것이었다. 오비맥주는 결국 3일 만에 가격 인상을 연기했다. 시기를 조절한다는 선에서 전격 가격인상은 없던 일이 됐다.
롯데칠성음료는 지난달 16일 '칠성사이다'와 '펩시콜라', '게토레이', '칸타타' 등 주력제품을 포함한 20개 품목의 음료가격 인상을 결정했다. 하지만 여론과 정부의 '뭇매'를 맞은 롯데칠성은 10일 만에 가격 인상을 철회했다. 문제는 20개품목 가운데 주력품목 5개만 인상을 철회해 다시 후폭풍을 맞았다. 결국 전 제품의 가격은 원래대로 돌아 갔다.
풀무원식품도 최근 가격인상을 전격 발표했다가 철회했다. 풀무원은 지난 22일 두부, 나물, 어묵 등 153개 제품의 출고가를 평균 7% 인상한다고 보도자료를 냈다. 하지만 이날 저녁 풀무원은 서민경제 부담을 완화하고 설 물가 안정에 기여하기 위해 가격 인상을 유보키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한편 전문가들은 올해 식품업계의 화두였던 가격인상 문제가 2012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 전문가는 "올해 가격인상에 실패했던 업체 뿐만 아니라 인상폭이 적었던 업체들도 가격인상 시기를 앞당길 것"이라고 전망했다.
sdpark@fnnews.com 박승덕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