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서민금융포럼·서민금융대상] 김정인 KCB 소장 “신용 7등급 이하 상품도 필요”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2.03.13 17:48

수정 2012.03.13 17:48

[서민금융포럼·서민금융대상] 김정인 KCB 소장 “신용 7등급 이하 상품도 필요”

신용등급 7등급 이하 저소득·저신용층 특성에 맞는 서민금융 상품 차별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정인 코리아크레딧뷰로(KCB) 연구소 소장은 13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열린 '2012 서민금융포럼 및 서민금융대상'에서 "현재 서민금융 자금은 7등급에 몰려있고 서민금융 접근방식도 혼재돼 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저신용층 특성을 고려해 세분화된 정책 방향의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소장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저소득.저신용층 중 연소득이 2000만원 정도인 소득 1분위와 신용등급 7등급 대출자의 부채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총부채상환율(DTI)의 40%를 초과하는 고위험 대출자 비율이 높아 금융환경 변화나 정책 변화 등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DTI란 갚아야 할 대출 원금과 이자가 개인의 월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로 DTI가 40%를 초과한다는 것은 월소득 중 금융권에 갚아야 할 빚이 40%를 넘어섰다는 의미다.


거시경제가 나빠지면서 8~10등급뿐만 아니라 서민금융 자금이 몰려있는 7등급의 연체율도 지난 2010년 7월부터 상승했다.


김 소장은 "현재 연체율이 늘어난 것도 문제지만 더 큰 문제는 채무불이행에서 회복된 고객들"이라며 "채무불이행에서 벗어났지만 다시 다중채무자가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지적했다. 지난 2007년 3월~2011년 2월 채무불이행에서 벗어난 고객 232만명 중 13%인 31만명은 연체와 다중채무로 다시 채무불이행으로 전이될 가능성이 높아졌고 60%인 138만명은 금융기관 이용엔 여전히 제약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박소장은 저신용자 특성에 맞는 서민금융 상품 세분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