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소기업

[중기포커스] (54) 명암 엇갈리는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BIPV)

이유범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2.06.12 17:16

수정 2012.06.12 17:16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BIPV) 시스템과 관련 모듈시장이 주목받고 있다. BIPV는 기존 태양광발전(PV) 시스템보다 경제성이 높아 정부의 정책적 지원까지 맞물리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발주처에서 BIPV의 기능보다는 가격에 초점을 맞추면서 관련기술 개발이 지연되고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됐다.

■BIPV 성장세...왜?

1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BIPV 시장은 지난해 200억원 수준으로 3~4년 내 400억원을 돌파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사용되는 태양광 모듈의 경우 지난해 2000억원에서 3~4년 내 3배 이상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같은 성장세의 원인으로 업계는 '신재생에너지 공공 의무화제도'를 꼽고 있다. 이 제도는 정부가 50% 이상 지분투자한 건물에 한해 전체 사용 에너지의 10%를 신재생에너지로 하도록 하는 제도다.

정부가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의거,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을 지방으로 이전시키면서 신축 건물이 늘고 있고 이에 신재생에너지 수요가 늘고 있다는 게 관련업계의 판단이다.


BIPV는 기존 PV시스템과 비교할 때 공간활용 면에서 장점이 있다. 기존 PV시스템은 발전사업용으로 효율과 경제성이 우선돼 산림 및 자연 훼손 문제가 있다. 또 우리나라는 국토가 좁아 PV시스템을 설치하기가 쉽지 않다.

BIPV는 건물 외피에 태양광발전 기능을 추가하는 방식이다. 이 때문에 PV시스템 설치에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설치공간 마련의 애로가 없어 경제성 면에서도 유리하다. 이 같은 이유로 BIPV가 부진한 국내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대안으로 꼽히고 있다.

■가격 논리에 품질개발 밀려

BIPV는 기본적으로 커튼월 등 건물 외벽에 태양전지를 적용하는 공법이다. 이 때문에 BIPV는 태양광모듈이 90도로 설치될 수밖에 없고 태양광 획득량이 70~80%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나대지에 45도로 모듈을 설치하는 PV시스템의 태양광 획득량이 거의 100%에 달하는 것을 고려하면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다.

따라서 태양광 획득량을 높이려면 BIPV에 맞는 모듈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하지만 모듈 생산업체들은 BIPV 관련 신기술 개발 및 적용에 꺼리고 있다.

품질이 좋은 제품을 개발해도 발주처와 BIPV시장에 직접 진출해 있는 창호업계가 모듈 가격 인하에 주력하고 있는 탓이다. BIPV시장은 창호업계가 BIPV 모듈 전문업체와 계약을 하고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방식으로 공급을 받고 있다. 창호업계로서는 이윤을 남기기 위해 BIPV 모듈 가격을 내리는 데 주력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발주를 하는 정부 기관도 10% 의무화라는 수치에만 집중할 뿐 고품질 제품을 사용하는 데는 관심이 없다. 결국 시장의 성장과 기술 발전이 따로 노는 이상한 구조로 흘러가고 있다는 게 모듈업계의 주장이다.


이에 따라 모듈업계는 BIPV용 시장 확대를 통한 가격 인하가 절실하다는 입장이다. 현행 '신재생에너지 공공 의무화제도'로 공공기관들의 신재생에너지 사용이 의무화됐지만 앞으로는 민간기업에까지 적용해야 한다는 것.

민간기업까지 적용이 확대된다면 모듈 생산량이 늘어나고 생산량에 따라 가격은 떨어질 수 있다는 게 모듈업계의 주장이다.


모듈업계 관계자는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불황에도 BIPV시장이 공공기관 등의 지방 이전으로 당분간 혜택을 볼 것"이라며 "시장과 관련기술 발전을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 의무사용 범위가 민간기업까지로 확대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유범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