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사설] ‘동북아 금융허브’가 흉물로 전락할라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2.11.30 17:01

수정 2012.11.30 17:01

'동북아 금융허브'를 표방하는 여의도 서울국제금융센터(IFC)가 6년간의 공사를 마치고 지난달 29일 전면 개장했다. 그러나 전면 개장이라는 경사를 맞은 IFC서울의 분위기는 을씨년스럽기만 하다. 사무실이 텅 비어 있기 때문이다.

IFC서울 사업은 이명박 대통령이 서울시장 재임시절인 2005년 서울을 싱가포르, 홍콩에 필적하는 '금융허브'로 만들겠다며 시작했다.

1조500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연면적 50만5000㎡에 32층의 오피스1, 29층의 오피스2, 55층의 오피스3 등 사무동 3개와 IFC쇼핑몰, 콘래드호텔까지 모두 5개 동으로 구성됐다.

그런데 입주 현황을 보면 IFC서울이 당초 취지대로 운영될 수 있을지 심히 우려된다. 지난해 10월 문을 연 오피스1의 임대율은 99%에 달하지만 입주한 30개 회사 중 외국계 금융회사는 9개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LG화학, LG하우시스, 소니코리아, 필립모리스 등 금융과 관계없는 회사들이다.
지난 8월 개장한 오피스2의 임대율은 고작 11%며 지난달 29일 개장한 오피스3은 오피스2 분양이 끝난 뒤 순차적으로 분양할 계획이어서 아예 텅 비어 있다.

주변 여건이 여러모로 여의치 않아 이 같은 공실 사태는 장기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2008년 금융위기에 최근의 유로존 위기까지 겹쳐 글로벌 금융사들은 사세가 위축되고 있다. 때문에 국내 신규 진출은커녕 구조조정 차원에서 기존의 국내 영업망마저 철수하려는 업체가 속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무실을 외국계 금융사만으로 채운다는 구상은 이미 물 건너갔다고 봐야 한다. 금융사가 아닌 일반기업 대다수도 불황에 대처해 긴축경영을 하고 있어 수요가 그리 많지 않다. 부동산 경기 침체와 사무실 공급과잉도 문제다. 부동산업계에서는 여의도 일대에 신축건물이 많아 내년까지 약 40만㎡(12만평)의 사무실이 추가 공급될 것이라고 점친다.

상황이 이런데도 사업을 맡고 있는 서울시와 AIG 측은 "임대료가 시내 중심지 빌딩보다 10~15% 싼 만큼 경쟁력이 있다"는 한가한 소리를 늘어놓고 있다.
서울시는 입주에 따른 인센티브를 대폭 강화하는 등 특단의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우선 이곳에서 신규로 사업을 시작하는 금융사에 20억원 한도의 고용보조금과 교육훈련보조금을 주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 하는데 여기에다가 세금 감면 같은 추가적 인센티브까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서울의 랜드마크가 국민 세금을 잡아먹는 '불 꺼진 흉물'로 전락하는 사태는 막아야 한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