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민간·국책연구소, 학계 및 금융기관의 경제전문가 33명을 대상으로 차기 한은총재의 역할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응답장의 59.1%가 '경제성장률 제고'를 꼽았다고 10일 밝혔다.
이어 31.8%가 전통적인 중앙은행 역할인 '물가안정'을 꼽았고 9.1%는 '외환부문 안정을 위한 국제공조 강화'라고 답했다.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2.5%가 올해 상반기 중에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2.5%로 동결해야 한다고 답했고 상반기 중 인하가 필요하다는 응답은 25.0%, 인상 주장은 12.5%로 나타났다.
미 양적완화가 종료되는 시점과 관련해서는 응답자의 48.5%는 2014년 하반기를 종료시점으로 예상했다. 미국 고용지표의 개선이나 실물경기 회복세에 대한 기대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달리 미국 경기 회복세가 약하다고 보는 전문가들은 종료시점을 2015년 상반기(39.4%)로 전망했다.
또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조치나 그 여파로 나타난 신흥국발 경제불안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란 응답이 많았다.
경제전문가 4명 중 3명을 넘는 75.8%가 미 양적완화 축소의 국내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답했는데 그 이유를 경상수지 흑자 구조와 외환보유비율 등 '신흥국과의 차별성'(96%)을 꼽았다. 부정적인 영향이 클 것(24.2%)으로 보는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 신흥국 수출감소(62.5%), 환율의 급격한 변동성 확대(25%) 등을 들었다.
향후 대외불안 해소를 위해 정부가 역점을 두어야 할 사안으로 최근 한-호주 간 5조원 상당의 통화스왑 계약 체결처럼 '원화가치 안정을 위한 안전장치 마련'(36.4%)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이어 '내수 위주 산업구조로의 신속한 전환'(30.3%), 외국인 국내 투자자금의 급격한 이탈 방지 노력(21.2%), 신흥시장 수출확대 노력(12.1%) 등의 순이었다.
경제혁신 3개년 계획과 관련해서 전문가의 75.7%가 '투자·고용 활성화'(75.7%)를 정부 중장기 경제정책의 핵심 과제로 꼽았고 창조경제(9.1%), 가계부채 위험 관리(9.1%), 재정건전성 강화(6.1%) 등이 뒤를 이었다.
전경련 김용옥 경제정책팀장은 "대외적으로 미국, 유럽연합(EU) 등 선진국의 경기회복세가 중국의 저성장 기조나 신흥국발 경제 불안과 혼재된 상황"이라면서 "이런 불확실한 대외경제 상황에서 투자와 고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지속적으로 경제 활성화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kkskim@fnnews.com 김기석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