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경제

中 대형銀 부실채권 급증.. 상각액만 10兆

김홍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4.03.31 18:06

수정 2014.10.29 00:34

中 대형銀 부실채권 급증.. 상각액만 10兆

【베이징=김홍재 특파원】 지난해 경기 침체의 여파로 5대 국유은행(공상·건설·농업·중국·교통은행)의 평균 순이익 증가율이 지난 2012년 15% 안팎에서 10% 내외로 줄었다.

또 이들 은행이 지난해 대손상각으로 처리한 부실채권 규모도 전년보다 127% 늘어난 590억위안(약 10조원)에 이르는 가운데 올해도 성장률 하락과 잇따른 부실기업의 디폴트(채무불이행)로 금융시스템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5대은행 순이익 큰 폭 감소

3월 30일 중국의 경화시보와 21세기망 등에 따르면 중국의 16개 상장사 은행 중 12개 은행이 실적을 발표했는데 이들 5개 국유은행의 순이익은 8627억2300억위안(약 151조원)으로 중국 전체 은행 순이익의 62.5%를 차지했다.

전년 대비 순이익 증가율은 농업은행이 1662억1100만위안으로 14.5% 증가해 가장 높았으며 그 뒤를 이어 중국은행 12.3%(1569억1100만위안), 건설은행 11.12%(2146억5700만위안), 공상은행 10.11%(2626억4900만 위안), 교통은행 6.73%(622억9500만 위안) 순으로 나타났다.

교통은행을 제외한 나머지 4개 은행의 순이익 증가율이 가까스로 두 자릿수를 유지했지만 평균 순이익 증가율은 지난해 15%에서 올해 10% 내외로 줄었다. 지금까지 실적을 발표한 16개 은행 중 12개 은행의 순이익이 둔화세를 보이면서 더이상 은행들이 중국의 고도 성장에 '누워서 돈을 벌던 시대'는 끝났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교통은행의 리엔핑 수석 경제학자는 "경기 침체가 심화되고 은행에 대한 감독규정 강화, 은행 업종 간 경쟁 심화 등으로 지난해 은행의 이자 마진이 줄고 대손충당금이 늘면서 영업이익과 이익 증가율이 뚜렷한 감소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부실채권 급증…금융위기 전조

특히 5대 국유은행 중 3곳의 부실채권 비율이 상승했다.


파이낸션타임스(FT)에 따르면 이들 5대 은행이 지난해 대손상각(부실채권을 회계상 손실로 처리)한 부실채권 규모가 590억위안으로 전년보다 12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은행이 지난 10년간 파산에서 구제된 후 자본을 확충하고 증시에 상장된 이후 최대 규모다.

은행별로는 교통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이 1.05%로 전년 대비 0.13%포인트 증가했으며 그 뒤를 이어 공상은행이 0.09%포인트(0.94%), 중국은행이 0.01%포인트(0.96%) 늘었다. 건설은행은 지난해와 같은 0.99%, 농업은행은 0.11%포인트 감소한 1.22%로 나타났다.

중국은행의 중리앙 국제금융연구소 부소장은 "부동산 규제와 생산 과잉, 경기 둔화 등으로 은행업은 자산건전성이 부실해지는 것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면서 "다만 아직까지 은행헙의 부실채권 비율이 1% 내외이며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중국 경제가 성장을 유지한다면 부실자산에 대한 위험은 제어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최근 부실 기업들의 디폴트가 이어지고 있는 데다 1·4분기 성장률도 7.2% 안팍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부실채권 규모가 더 확대될 경우 금융시스템 위기로 확산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중국 증권일보는 이날 전문가들의 분석을 인용, 중국의 1·4분기 성장률을 7.2% 내외로 전망했다. 중국 국제경제교류센터의 왕쥔 자문연구부 부부장은 "지난 1~2월에 투자, 소비, 공업지수 등에서 '내리막 현상'이 나타났다"면서 "1·4분기 거시경제 지표는 2009년 이후 최악의 상황을 보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를 감안해 1·4분기 성장률을 7.2~7.3%로 예상했다.


이는 리커창 총리가 정부 업무계획에서 밝힌 올해 성장률 목표(7.5% 내외)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가 조만간 경기 부양에 나설 것이란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리 총리도 지난주에 "점점 커지는 경기침체 압박은 결코 무시할 수 없는 현상"이라며 "경기 변동성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hjkim@fnnews.com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