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반가운 부연구위원이 발표한 '고학력 여성 취업과 기업 인력수요 미스매치' 보고서에 따르면 기업의 빈 일자리 분포와 취업 일자리 분포의 상관관계를 보면 남성은 0.82로 여성(0.39)보다 1에 가까웠다.
여성은 학력에 따라 상관관계가 더 낮아져, 고졸 이하가 0.39, 전문대졸은 0.19, 여성 대졸 이상은 0.07로 나타났다.
고학력 여성일수록 기업 인력수요와 상관없는 취업을 한다는 뜻이다.
또 기업의 인력 수요가 높은 상위 5가지 일자리는 △운수업 서비스 △제조업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 △운수업 장치·기계조직 및 조립 △제조업 기능원 및 관련기능 △제조업 단순노무 등이지만 여성 취업 비율은 10.5%로 남성 18.1%보다 7.6%포인트 낮았다.
5가지 일자리의 임금 수준은 운수업 서비스 종사자(7등급)를 제외하면 2∼5등급으로 낮은 편이다.
이들 일자리에 취업한 여성의 학력을 보면 고졸 이하(16.5%)가 가장 많고 전문대졸(3.4%), 대졸(1.0%)은 낮은 비율에 그쳤다.
여성의 학력별 일자리를 보면 고학력 여성은 교육서비스업 전문가(26.4%)로 가장 많이 종사하고, 고졸 이하 여성은 숙박 및 음식업 서비스 종사자(10.1%) 비중이 높아 학력별로 취업하는 일자리가 달랐다.
반 연구위원은 "기업의 인력수요가 높은 상위 5가지 일자리와 여성이 주로 취업하는 일자리를 비교해 보면 여성이 남성에 비해, 특히 고학력 여성일수록 괴리가 크다"고 강조했다.
그는 "여성 고용률 제고를 위해서는 일-가정 양립지원 및 여성차별 완화 정책을 지속, 강화해나갈 뿐만 아니라 정부의 교육훈련 정책이 고학력 여성인력의 선호를 충족시키는 새로운 직업의 창출문제까지 함께 고려하는 방향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win5858@fnnews.com 김성원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