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31일 국회에서 열린 '아동·청소년 비만 사회문화 해결을 위한 통합적 정책 모색 및 제언'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아동·청소년 비만의 관리 필요성을 역설하면서 "관련 부처와 지자체별 정책 연계와 협조 체계를 기반으로 한 통합 플랫폼을 구축해 아동·청소년의 비만을 예방·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 국립보건원 로버트 쿠즈마스키 교수는 "비만으로 제2형 당뇨, 관상동맥, 암 등이 발병된다"면서 "이에 국립보건원은 2005년에 5억1900만달러를 시작으로 2014년 8억3400만달러를 비만 연구에 투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쿠즈마스키 교수는 비만 예방을 위해 아동·청소년 비만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6세~8세 아동 중 과체중 아동 55%가, 비만 아동은 69%가 25세 이상 성인이 되면 비만이 된다"면서 "이에 소아·청소년의 비만 관리와 함께 지속적인 체중 감량을 위한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가톨릭대 사회문화해결형 기술개발사업단 김헌성 교수(가툴릭대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는 "오픈 플랫폼 형태로 소아·청소년 비만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아동·청소년 예방 관리는 관련 부처와 법, 정책기관의 협력 부족과 네트워크 부재로 체계적인 관리가 안되는 상황이다. 또한 학교, 보건소 등에서 수행되는 비만 관리 프로그램도 지속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아동·청소년의 참여율도 저조한 상황이다. 이에 관련 부처, 지자체, 학교, 보건소, 가정 등이 통합적으로 연계된 통합 관리 플랫폼을 구축해 아동·청소년의 비만을 예방·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김 교수는 "아동·청소년 비만 관리를 개인적 접근이 아닌 환경을 조성하고 IT를 이용한 오픈 플랫폼을 통해 학교, 보건소 등 공공기관뿐 아니라 기업의 비지니스 모델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hsk@fnnews.com 홍석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