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과학

KIST연구진, 뇌 신경세포 활동 실시간 감지하는 센서 개발

김혜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5.01.08 14:59

수정 2015.01.08 14:59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기능커넥토믹스연구단 브래들리 베이커박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기능커넥토믹스연구단 브래들리 베이커박사

해외 유치과학자가 주축이 된 국내 연구진이 신경세포의 전기적 활동을 시각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는 형광단백질 센서 '봉우리'를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기능커넥토믹스연구단 브래들리 베이커박사 연구팀은 빛을 통해 빠른 뇌 활동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바이오 센서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봉우리는 현재까지 개발된 단백질 센서 중 가장 빠른 반응속도를 보였을 뿐 아니라 뇌의 다양한 영역에서 신경활동 변화를 동시에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구팀에 따르면 뇌의 신경계는 자극이 가해지면 전압 변화가 일어나는데, 이러한 전기적 활동을 통해 정보를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신경세포는 전기적 자극 혹은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세포막의 이온 투과도가 변하고, 이때 전압의 +극과 -극이 뒤바뀌는 역전현상이 일어난다. 이러한 현상을 '활동전위'라 부르는데, 하나의 활동전위는 1~2 밀리초(1000분의 1초)로 빠르게 일어난다. 활동 전위는 냄새, 소리, 운동 등 뇌를 통해 일어나는 모든 반응을 전달하는 매개체가 되기 때문에 활동전위를 파악하는 것은 뇌 연구에 필수적이다.

이에 연구팀은 활동전위와 같은 뇌의 전기적 활동을 광학적 신호로 바꾸기 위해 유전적으로 변형된 형광단백질 전압센서를 제작했다.


이번에 개발된 봉우리는 8 밀리초의 반응시간으로 활동전위 측정이 가능해 기존의 형광 단백질 센서(40 밀리초)에 비해 센서의 시간 해상도가 5배나 높다.

또한 60㎐(1 초에 60번)로 발화되는 활동전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는 세계적으로 보고된 센서 중 가장 빠른 센싱 속도로, 일반적인 세포의 발화는 50~60㎐ 로 일어나기 때문에 봉우리를 사용하게 되면 대부분의 세포의 신경전달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브래들리 박사는 "본 연구로 하나의 신경회로 또는 수천개의 신경회로를 한눈에 실시간으로 볼 수 있게 되었고 전에 볼 수 없었던 기능적 뇌활성지도를 제작 할 수 있게 됐다"며 "머지않은 미래에는 정상과 비정상인 뇌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게 될 것이고, 이를 통해 질병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여, 자폐증과 같은 뇌질환의 원인규명 및 치료제 개발에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신경과학 분야의 권위있는 학술지인 '저널 오브 뉴로사이언스' 1월 7일에 게재됐다.

bbrex@fnnews.com 김혜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