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한국 정치인 신뢰도 세계 97위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5.02.01 17:48

수정 2015.02.01 17:48

우리나라 정부의 정책 결정 과정 투명성이 144개국 중 최하위인 133위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무원들의 의사결정 편파성도 82위로 상당히 심각했다. 정치인에 대한 신뢰는 97위로 우간다나 베트남보다 낮았다.

정부 내부 뿐만 아니라 정부-정치권, 정부-국민, 정치권-국민 사이의 소통이 후진국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1일 정부 부처 등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경제포럼(WEF)이 발표한 2014년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한국은 144개 국가 중 26위를 차지했다.
전년보다 1단계 하락했다. 부문별로 보면 재정수지.인플레이션 등 거시경제(9위→7위)와 시장규모(12위→11위), 기업혁신(17위→17위) 등은 상위권에 속했다.

그러나 국가의 정책과 관련한 제도적 요인 부문은 중하위권인데다가 순위가 8계단(74위→82위)이나 떨어졌다. 제도적 요인은 2012년 62위에서 계속 추락하고 있다. 정책 결정의 투명성에서 한국이 받은 점수는 7점 만점에 3.1점으로 낙제 수준이다. 1위를 차지한 싱가포르의 점수는 6.1점으로 한국보다 2배 높다. 아시아권에서는 싱가포르 외에 홍콩(4위), 카타르(5위), 일본(10위)의 순위가 높다.

한국은 정책결정의 투명성에서 캄보디아(130위), 브룬디(131위), 마다가스카르(132위)보다도 낮은 점수를 받았다. 기니(134위), 아르헨티나(135위), 미얀마(136위)보다는 약간 앞선 수준이다.

법체계의 효율성(규제개선 측면)에선 작년에 2.8점을 받아 2013년 101위에서 1년만에 113위로 12계단 떨어졌다.
공무원 의사결정의 편파성에서도 2.9점을 받아 82위를 차지했다. 정치인에 대한 공공의 신뢰는 전년보다 15계단 뛰어올랐지만, 97위(2.4점)로 여전히 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했다.
점수로는 1위 싱가포르(6.2점)와 2위 카타르(6.1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고, 49위 베트남(3.4점)과 94위 우간다(2.5점)보다 낮았다.

bada@fnnews.com 김승호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