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이 보유한 기술, 특허 등의 자사 실용화를 위해 교육부가 3년간 총 450억원을 투입한다.
교육부는 대학을 창조경제의 전진기지로 육성하기 위한 '대학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 사업 추진계획'을 확정했다고 12일 밝혔다.
교육부는 올해부터 2017년까지 연간 150억원씩 3년간 총 450억원을 투입해 대학의 연구성과를 상용화한다. 우선 대학 산학협력단 혁신형, 대학 연구소 혁신형 등 사업유형을 2개로 나눠 각각 17개, 3개 등 총 20여개의 사업단(대학)을 선정할 계획이다. 각 대학별로 산학협력단 혁신형은 1개, 연구소 혁신형은 2개까지 신청 할 수 있다. 대학(연구소) 간 협력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컨소시엄을 구성한 신청도 가능하다. 다만 대학 산학협력단 혁신형의 경우는 컨소시엄 사업단을 수도권, 충청권, 호남제주권, 대경강원권, 동남권 등 5대권역별로 1개 이상을 선정해 지역대학의 기술사업화 역량을 강화할 방침이다.
선정된 대학(사업단)은 연 5~10억원(평균 7억5000만원)을 지원받는다. 이 지원금으로 대학들은 국내외 산업 및 연구개발 동향 수집·분석, 보유 자산에 대한 상업화 가능성 분석 및 사업화 후속 연구개발, 해외 특허 설계 등을 추진하게 된다. 특히 변리사, 산업동향 전문가 등 실용화 전담인력을 갖추고 체계적으로 창의적 자산을 관리하고, 각 분야가 융합된 후속연구(R&BD) 및 시작품 제작을 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사업 추진이 가능해진다.
한편 국내 대학들은 상당한 연구 인프라와 우수한 연구 성과를 냈음에도 그간 사업화 자금 부족 등으로 이를 실용화하는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실제로 한국의 SCI 논문 발표 수는 4만7066편으로 세계 10위, 국내 대학의 기술개발 건수는 1만2482건에 달하지만 기술이전은 2431건으로 연간 기술이전율은 미국의 절반 수준인 19.5%에 불과한 상황이다.
2013년 기준으로 주요 대학 기술이전 및 특허 실적 현황을 보면 기술이전의 경우 서울대가 104건으로 가장 많았고, 성균관대 86건, 경북대 74건, 인하대 70건, 전남대 68건 등의 순이었다.
교육부는 이번 사업으로 향후 3년간 기술을 기반으로 한 창업 165건, 실용화 시작품 340건 이상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교육부는 오는 24일 사업 설명회를 개최하고, 3월 중순까지 사업 신청서를 접수한 뒤 5월 중 선정평가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조윤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