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홈페이지에서 이용자 편의를 위해 비용이 들어가는 '범용 공인인증서' 대신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일반 공인인증서' 도입을 추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범용 인증서가 안정성은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매년 4400원(부가가치세 포함)씩 결제를 해야 하는 방식이고 그마저도 일부 기업의 인증서는 사용할 수 없어 소비자들의 불만이 끊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르면 4월부터 일부 서비스를 제외하고는 모두 금융·증권용 일반 무료 인증서를 사용토록 해 소비자들의 불편이 해소될 예정이다.
26일 이동통신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공식 홈페이지인 T월드(www.tworld.co.kr)에서 요금제 변경, 부가서비스 가입 등 본인인증이 필요한 경우 문자서비스(SMS) 인증과 범용 공인인증서 인증만 허용하고 있다. 범용 공인인증서는 현재 코스콤, 한국정보인증, 한국전자인증 등 3개 회사에서 발급이 가능하며 개인 업무용일 경우 1년에 4400원이 든다. 코스콤이 약 50% 정도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범용 공인인증서는 비용이 들고 가입이 번거로운데다 절반 정도의 고객을 갖고 있는 코스콤 측에서의 연동 문제로 이용이 불가해 고객 민원이 많았다"며 "이에 따라 본인 인증이 필요한 일부 서비스에 대해 무료인 금융·증권용 일반 공인인증서를 사용토록 시스템을 바꾸고 있다"고 말했다.
SK텔레콤은 일단 지난 12일부터 이동전화, 인터넷, 집전화, Btv, 납부 및 자동납부 신청·변경 등 일부 서비스에 대해 일반 인증서로도 이용이 가능토록 시스템을 개편했다. 요금제 변경이나 부가서비스 가입 등은 이르면 4월부터 일반 인증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증방식은 각사별로 각기 다른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KT는 올레 홈페이지(www.olleh.com)에서 대부분의 작업이 아이디와 패스워드로 가능하다. 비용이 들어가는 일부 서비스는 SMS, 아이핀(IPIN) 인증 방식을 갖추고 있다. LG U+는 홈페이지(www.uplus.co.kr)에서 SMS, 범용 공인인증서, 신용카드 인증 등 더 다양한 방식으로 인증을 할 수 있다.
이동통신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개인정보보호법'이 개정, 주민등록번호의 수집이 원칙적으로 금지돼 인증방식에 변화가 불가피하다"며 "고객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쉽고 편리한 방식을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eyes@fnnews.com 황상욱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