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수막구균성 수막염이란? 사망률 15% ‘위험한 질병’ 예방법은?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5.04.08 09:43

수정 2015.04.08 09:43

수막구균성 수막염이란? 사망률 15% ‘위험한 질병’ 예방법은?

수막구균성 수막염이란? 수막구균성 수막염에 네티즌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수막구균성 수막염은 수막염균에 의 급성 감염 질병으로, 수막염균은 생후 6~12개월 유아의 뇌수막염의 주요 원인균으로 알려졌다. 수막구균성 수막염은 유행성의 경우 급성으로 증세가 나타나 발열, 심한 두통, 구역질, 구토 등을 동반한다. 수막구균성 수막염은 과거에는 사망률이 50%나 됐고, 현대에도 사망률이 5~15%에 달하는 위험한 질병이므로 주의를 요한다. 수막구균성 수막염은 환자나 보균자의 코나 목에서 나온 분비물이나 비말을 통해 직접 감염 형태로 호흡기에 전파된다.

간접 접촉 감염은 아주 드물다고 전해진다. 감염 후 2~10일의 잠복기를 거친 뒤 급성으로 발열, 심한 두통, 구역질, 구토, 목 부분 경직 등의 증세가 나타나고, 분홍색 반점도 잘 나타난다. 심지어 혼수상태에 빠지기도 한다고 알려졌다. 수막구균성 수막염은 뇌수막염, 심내막염, 심근염, 심외막염, 관절염, 안구염 등 여러 부위에서 국소 감염증을 일으킬 수도 있다.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