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내곡동 예비군 훈련장 총기사고..과거 예비군 사고는?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5.05.13 14:45

수정 2015.05.13 14:45

서울 내곡동 예비군 훈련장에서 13일 총기난사 사건이 발생한 가운데 그동안 훈련장에서 일어났던 유사 사건·사고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과거 사례 가운데는 이번 사건처럼 고의로 다른 사람의 생명을 빼앗지는 않았지만, 인명사고를 유발하거나 스스로 목숨을 끊은 일도 있었다.

역대 예비군 사고 중 가장 인명피해 규모가 컸던 것은 1993년 6월 10일 경기도 연천의 포병사격훈련장에서 포 사격 훈련을 하다 발생한 대형 폭발사고다.155㎜ 고폭탄 장약통 4개에 원인모를 불이 붙어 옆에 있던 고폭탄 1발과 조명탄 2발이 함께 터졌다. 이 사고로 동원예비군 16명과 현역 장병 3명 등 모두 19명이 숨지고 5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이 사고에 대한 책임으로 해당 여단장이 보직해임 되고, 장교 3명이 구속됐다. 김영삼 당시 대통령은 사고 이후 예비군 제도 운영상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파악해 예비군제를 전면 재검토하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대통령의 이 같은 지시에도 예비군훈련 사고는 잇따라 발생했다.

바로 이듬해 5월 3일 경기도 미금시(지금의 남양주) 예비군 훈련장에서는 시가지 전투훈련을 받던 대학생이 동료 예비군이 쏜 총에 맞아 숨지는 사고가 났다.

당시 시가지전투를 하던 예비군들은 모두 공포탄을 지급받았으나 동료 예비군의 소총에는 실수로 실탄이 한 발 남아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같은 해 7월에는 대구의 예비군 훈련장에서 사격훈련을 하던 대학생이 소총으로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건도 있었다. 1999년에도 광주에서 예비군 훈련을 받던 20대 남성이 자신을 향해 총을 발사해 중상을 입었다.

인천에서는 2001년 5월 수류탄 투척 훈련 중 연습용 수류탄이 터져 예비군 1명의 오른손 손가락이 부러졌다. 이 사고는 해당 예비군이 2차 안전핀을 제대로 잡지 않아 일어난 것이지만, 문제의 연습용 수류탄에 규정과 달리 철제 외피가 없어 부상이 커진 것으로 확인됐다. 2004년 4월에는 경기도 양주에서 훈련용 전지 뇌관이 터져 예비군 훈련 참가자 4명이 얼굴과 팔, 다리에 상처를 입기도 했다.

예비군 수송 차량의 교통사고도 여러 차례 있었다.

2004년 4월 강원도 인제군 지방도에서는 동원예비군을 태운 버스가 언덕 아래로 추락해 3명이 숨지고 27명이 다쳤다.
2011년 경기도 포천시의 한 교차로에서는 군용 트럭이 중앙 가드레일을 들이받고 넘어져 트럭에 타고 있던 예비군 3명이 중상을 입었다.

인명 피해 외에 산불 등 화재 사고도 잇따랐다.
경기도 이천에서는 1999년 4월 동원예비군 포 사격 훈련 도중 박격포 유탄이 산에 떨어져 산불이 발생했고, 경기도 가평에서는 2008년 5월 동원예비군 박격포 사격훈련 도중 포탄이 바위 등에 부딪히며 산불이 났다.

mountjo@fnnews.com 조상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