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세포-단백질 그물망은 스티커처럼 원하는 위치에 손쉽게 부착할 수 있어 인체 거부반응이 없는 안전한 장기와 신경 세포 치료가 기대된다.
현재 손상된 장기와 신경의 특정 부위에 세포를 자라나게 해 손상을 회복시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보형물을 활용하기 때문에 인체에 거부 반응을 일으킨다. 특히 조직 내 세포들이 인공조직과 원활히 접합하여 계속 성장하는 것이 중요하하지만 인공물이기 때문에 자연적 접합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신 교수는 "지난 2012년에 시작된 연구가 오랜 연구과정을 거쳐서 결실을 맺게 됐고 올해 6월부터는 하버드대학 연구진이 서강대로 파견돼 이번 연구를 이용한 피부재생용 세포스티커의 실용화 연구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cynical73@fnnews.com 김병덕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