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0년~2014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불안과 초조를 동반한 '강박장애(F42)'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는 2010년 2만490명에서 2014년 2만3174명으로 연평균 3.1%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1만3395명으로 전체 진료환자수의 57.8%(2014년 기준)을 차지해 여성 환자수에 비해 약 1.4배 많았다. 그러나 연평균 증가율에서는 여성(3.4%)이 남성(2.9%)보다 0.5%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2014년을 기준으로 건강보험 적용인구 10만명당 강박장애 환자를 연령대별로 보면, 남성은 20대 106.2명, 30대 69.9명, 10대 61.2명순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20대 64.1명, 30대 53.3명, 40대 41.1명순으로 강박환자가 많았다. 남녀 모두 20대가 가장 많았고, 남녀간 격차는 10~20대에 1.5~1.7배로 가장 컸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선구 교수(정신건강의학과)는 20대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강박장애는 전형적으로 10대~20대에 많이 발병하며, 20대 환자가 많은 이유는 미래에 대한 불안감, 직장 생활 및 가정생활의 어려움 등이 스트레스로 작용하는 것도 영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선구 교수는 "강박사고는 자신이 원하지 않는 것이므로 불안을 일으키고 이 불안을 조정하기 위한 자신만의 대책으로 강박행동을 하기도 한다"면서 "강박적 성향의 사람이 보이는 특징을 살펴보았을 때 완벽적이고 강압적인 분위기보다는 편안하고 화합하는 분위기에서 지낼 수 있고 성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고 지적하기 보다는 스스로 고쳐갈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고 조언했다.
hsk@fnnews.com 홍석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