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재정부 국제금융라인이 조직 재정비 차원에서 국제금융정책국·국제금융협력국·대외경제국 등 이른바 '대외3국'의 국제 금융 업무를 조정하는 조직 개편을 추진한다.
국제금융국은 미국 금리 인상 가능성과 세계 보호주의 확산 등 대외변동성에 적극 대응토록 바뀌고 현재 외교부와 공조하고 있는 공적개발원조(ODA)등 기재부 내 개발협력 업무는 국제금융협력국으로 모은다. 대외경제국은 양자경제외교 업무를 강화하도록 했다.
20일 복수의 기획재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기재부는 이같은 골자의 '기획재정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에 대한 입법예고를 21일 실시한다.
기재부 고위 관계자는 "현재 국금정책국과 국금협력국에 분산돼 있는 다자기구, 개발업무, 협력분야는 협력국으로 몰고 중요성이 부각되는 거시 업무는 국제금융정책국으로 모으기로 했다"고 말했다.
우선 협력국에서 G20 업무를 맡았던 거시협력과와 국제통화협력과가 국금정책국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이병연 국제통화협력과장이 거시협력과장으로, 이승욱 산업관세과장이 국제통화협력과장으로 각각 발령났다.
또 국제금융정책국 내 개도국 협력업무인 국제기구과와 아시아인프라개발은행(AIIB)팀, 대외경제국의 개발협력과가 국제금융협력국으로 옮겨져 다자간 협력과 개발협력을 특화하게 된다. 민경설 과장이 새 국제기구과장에 임명됐다.
한·미 재무장관 회담 등을 비롯해 한·일, 한·중 경제 협력 등 양자업무를 맡아왔던 지역금융과는 정체성에 맞게 대외경제국으로 재배치 된다.
이런 가운데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이날 서울 청계천로 예금보험공사에서 노무현 정부 이후 사라졌던 민간전문가단이 참여하는 국제금융발전심의회를 약 9년만에 부활시켰다.
국제금융발전심의회는 △국제금융·외환시장 △외환제도 △금융협력·국제기구협력 △경제협력·통상 등 4개 분과위원회로 운영된다. 미 금리인상,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결정, 중국 경기 둔화 등이 이날 의제에 올랐다. 유 부총리는 "대외부문을 활용하고 안정시켜 나가느냐에 따라 국가 경제의 흥망이 좌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재부의 한 관계자는 이번 조직개편에 대해 "미국 금리 인상 등 빠르게 변하는 시장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조직 업무의 효율화 차원"이라고 설명했지만 전반적으로 전문성을 강화해 조직의 전열을 재정비 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2008년 이명박 정부 당시 국내 금융업무가 금융위원회로 이관되면서 기재부 내 남아있는 국제금융라인과 금융위 간 인사 교류의 칸막이가 점차 높아졌다. 이에 따라 우수 인재의 국내 금융 업무에 대한 갈증 현상에 인사 적체와 인재 유출까지 더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psy@fnnews.com 박소연 조은효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