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사드 보복' 韓 기업, '꽌시' 근절해야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3.23 14:00

수정 2017.03.23 14:00

중국의 사드 보복(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 피해가 이어지면서 현지에 진출한 우리나라 기업들의 관시(關係) 중심의 대관업무 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3일 서울 세종대로 대한상공회의소 회관에서 열린 ‘중국 규제 강화 시나리오 및 리스크 관리 세미나’에는 국내 기업인 400여명이 참석해 큰 관심을 보였다.

이날 주제발표에 나선 정치·경제·보안리스크 컨설팅 기업 컨트롤리스크스 링 진 수석컨설턴트는 “현지 다국적기업의 대관업무 실패사례는 관시에 지나치게 의존한 경우가 대부분”라며 “업무 담당자가 관공서 공무원을 일대일로 관리하고, 문제 발생시 공무원을 통해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업무 방식을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중국에서 전통적인 방식의 대관업무는 점점 더 실효성을 잃어가고 있다”며 “이러한 변화의 가장 큰 배경은 중국의 리더십 변화와 규제 환경 변화”라고 설명했다.

링 진 컨설턴트는 중국 진출기업의 대관업무 방식이 ‘로비스트형’에서 ‘조언자형’으로 변화해야 할 시기라고 진단했다.
그는 “대관팀은 기존 로비스트 역할을 벗어나, 정부정책에 대해 조언해주는 업계전문가 역할을 맡아 규제당국과 윈-윈하는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세미나에선 중국의 정책과 규제리스크를 중장기적으로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앤드류 길홈 컨트롤리스크스 수석이사는 ‘한-중 관계 및 중국 정책·규제 환경 전망’ 주제발표를 통해 “중국의 사드 압박은 향후 2~3개월 혹은 그보다 길게 지속될 수 있다”며 “중국의 대일 경제보복에 비춰 봤을 때 그 영향은 한시적일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외교적 갈등으로 중국 현지기업의 경영상 어려움은 전혀 새로운 이슈가 아니다”며 “기업들은 현재의 외교적 문제와 상관없이 정책이나 규제 리스크에 중장기적으로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비즈니스 전략수립 초기단계부터 리스크를 평가하고, 이를 통해 드러난 취약부분에 대해 대관팀, 법무팀, 준법감시팀, 사업 전략팀 등 관련 부서들이 통합적인 대응전략을 수립하고 체계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마이클 힉먼 컨트롤리스크스 이사는 ‘신창타이'로 대변되는 시진핑 정부의 특징과 규제 강화 추세를, 김준우 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는 중국 투자·교역 분쟁의 효과적인 해결방안에 대해 강연했다.

cgapc@fnnews.com 최갑천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