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부총재는 "최근 글로벌 경제는 오랜 경기둔화에서 벗어나고 있는 모습"이라면서도 "인플레이션은 금융위기 이후 크게 낮아진 수준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국이 최근 대내외 여건의 불확실성에도 경기가 꾸준한 개선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수요 측면에서 물가상승압력을 나타내는 근원물가상승률은 여전히 1%대 중반에 머무르고 있다는 점을 예로 들었다.
그는 경기와 물가 간 상이한 변동행태의 원인을 찾는 이론으로 △필립스곡선 기울기의 평탄화 △장기간 저인플레이션에 따른 실제 인플레이션 둔화 △필립스곡선의 비선형성 등을 간단히 소개했다.
윤 부총재는 "경기개선이 견조해지는 과정에서 수요압력의 증대 여부와 이에 따른 물가 흐름을 면밀히 관찰하면서 심도 있는 후속 연구를 지속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경기와 물가 간 관계에 대한 이해는 통화정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경제주체들과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해나가는 데 있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주지시켰다.
또 미국 등 주요 선진국에서 경기 개선세가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서도 낮은 물가수준이 지속됨에 따라 통화정책 완화기조의 축소 시기와 속도를 결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들며 경기와 물가 간 관계 이해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윤 부총재는 마지막으로 "물가안정목표를 운용하는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을 물가목표에 안착시키는 과제와 거시경제 및 금융시스템 안정화를 도모하는 과제 사이에서 정책 선택의 딜레마에 빠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하 윤 부총재 개회사 전문
신사 숙녀 여러분!
오늘 한국은행과 서울대학교가 최근 전세계 중앙은행과 관련 학계의 주요 관심사항 중 하나인 인플레이션 동학에 관한 국제컨퍼런스를 공동으로 개최하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그리고 오늘 이 자리에 참석하신 여러분 모두를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특히 환영사를 해주실 서울대학교 박찬욱 부총장님, 기조연설을 해주실 Kiyotaki 교수님, 그리고 모든 세션의 사회자, 발표자 및 토론자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아울러 금번 컨퍼런스의 충실한 구성을 위해 애써주신 서울대학교 금융경제연구원의 이영섭 원장님을 비롯한 관계자 여러분께도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최근 글로벌 경제는 선진국과 개도국의 경기상황이 동반 개선되는 등 오랜 경기둔화에서 벗어나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는 각국 중앙은행이 “The Only Game in Town”으로 언급될 만큼 경기회복을 위해 통화정책을 적극적이고 과감하게 수행한데 힘입은 바 크다고 평가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물가 측면을 살펴보면 인플레이션은 금융위기 이후 크게 낮아진 수준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최근 경기와 물가간의 관계약화 현상, 소위 missing inflation이라 불리는 인플레이션의 동태변화와 관련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를 보더라도 최근 대내외 여건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여건 호조 등에 힘입어 경기가 꾸준한 개선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수요측 물가상승압력을 나타내는 근원물가상승률은 여전히 1%대 중반에 머물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같은 경기와 물가간 상이한 변동행태와 관련하여 그 원인을 찾고자 하는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주장은 유휴생산력(economic slack)과 인플레이션의 관계가 약화되었다는 소위 필립스곡선 기울기의 평탄화(Phillips curve flattening) 현상입니다. 기업간 경쟁심화, 노동시장 구조변화, 물가안정기조 정착 등으로 임금과 가격 결정에 있어 경기상황을 반영하는 정도가 과거에 비해 낮아졌다는 것입니다.
또 다른 연구들은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구조적 요인들을 분석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중 기대인플레이션 하락에 주목하는 연구들은 장기간의 저인플레이션으로 기대물가 수준이 낮아지면서 실제 인플레이션이 둔화되고 있다는 견해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밖에 유통혁신, 기술진보 등 공급충격이 인플레이션압력을 지속적이고 구조적으로 약화시키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의 경기와 물가간 관계 약화를 구조적으로 고착화된 현상으로 보기 어렵다는 주장도 적지 않습니다. 경제내 유휴생산력이 존재하는 상황에서는 경기의 물가에 대한 영향력이 일시적으로 축소될 수 있다는 필립스곡선의 비선형성 주장과 경기와 물가 간의 파급시차를 고려해야 한다는 논거가 대표적입니다.
이같은 점을 종합해 볼 때 인플레이션 동학의 변화 여부와 그 원인에 대해서는 향후 경기개선이 견조해지는 과정에서 수요압력의 증대 여부와 이에 따른 물가 흐름을 면밀히 관찰해 가면서 심도 있는 후속 연구를 지속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경기와 물가 간의 관계에 관한 정확한 이해는 통화정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경제주체들과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해나가는 데 있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최근 미국 등 주요 선진국에서 경기 개선세에도 불구하고 낮은 물가수준이 지속됨에 따라 통화정책 완화기조의 축소 시기와 속도를 결정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점에서도 양자간 관계에 대한 보다 깊이있는 분석이 계속되어야 할 것입니다. 특히, 물가안정목표제를 운용하는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을 물가목표에 안착시키는 과제와 거시경제와 금융시스템 안정화를 도모하는 과제 사이에서 정책선택의 딜레마에 빠질 수도 있을 것입니다.
신사 숙녀 여러분!
오늘 컨퍼런스에서 발표되고 토의될 내용들은 한국은행에도 매우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가격결정 행태에 관한 다양한 연구와 주요국의 사례분석 등은 인플레이션 동학에 관한 이해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며 효율적 통화정책을 모색하는 연구는 향후 통화정책 수행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아무쪼록 오늘 컨퍼런스에서 유익한 토론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며 중앙은행이 당면하고 있는 과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는 아이디어가 많이 제시되기를 희망합니다.
바쁘신 가운데에서도 귀중한 시간을 내어 참석해 주신 모든 분들과 특히 컨퍼런스 개최를 위해 애써주신 관계자 여러분께 다시 한번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hhch1113@fnnews.com 한상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