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지금 진화 중.②
-中 IT기업들의 잇단 日 진출, “알리페이, 모바이크, 투자, 디디추싱 등”
-포장마차에서도 스마트폰으로 결제하는 中
-日 “中을 보고 배워야 한다”
-韓 "포지티브 규제에서 네거티브 규제로 전환 필요"
-中 IT기업들의 잇단 日 진출, “알리페이, 모바이크, 투자, 디디추싱 등”
-포장마차에서도 스마트폰으로 결제하는 中
-日 “中을 보고 배워야 한다”
-韓 "포지티브 규제에서 네거티브 규제로 전환 필요"
디디추싱은 한국의 카카오택시와 유사한 스마트폰 택시 배차 서비스업체입니다. 등록자 수 약 4억4000만명, 하루 평균 이용건수 2100만건 이상으로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서비스업체입니다. 그런 디디추싱이 일본 최대 택시업체 ‘다이이치교통산업(第一交通産業)’과 손을 잡고 본격적으로 일본 공략에 나섰습니다.
다이이치교통산업 역시 약 8700여대의 택시를 운영 중인 일본 최대 택시업체입니다. 다이이치교통산업 관계자는 닛케이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내년 봄 도쿄 시내에서 운행 중인 500여 대에 우선 디디추싱 앱을 연동시킨 뒤 사업성을 판단해 전국 규모로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일본을 노리는 중국 IT기업은 디디추싱뿐만이 아닙니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의 스마트폰 결제 시스템인 ‘알리페이’와 글로벌 자전거 공유 서비스 업체인 ‘모바이크(モバイク)’, 중국판 에어비앤비 ‘투자(途家)’ 역시 일본에 진출했습니다.
기술력을 바탕으로 ‘탈아시아’를 외치던 일본이 어느새 혁신으로 무장한 중국 정보통신기술(IT)업체들의 공습을 받고 있는 것입니다.
닛케이신문은 “중국은 사람들의 소비 생활과 돈의 흐림이 완전히 바뀌는 전환점에 서있다”며 “핀테크가 현실에 보급되기 시작한 중국은 탁상논의만 하는 일본을 훨씬 능가한다”고 진단했습니다.
중국에 스마트폰이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불과 8년 전입니다. 하지만 중국은 어느새 핀테크에 가장 앞선 나라가 됐습니다. 닛케이신문에 따르면 중국내에서 스마트폰 결제는 3년 전부터 급증해 급기야 지난 2016년 결제 총액은 일본의 국내 총생산(GDP, 한화 약 5211조원)을 웃도는 39조 위안(한화 약 6406조원)에 달했습니다. 14억명의 거대한 시장이 만들어낸 결과입니다.
일본은행의 보고서에 따르면 매장에서 스마트폰 결제를 이용하는 사람은 미국, 일본, 독일 등이 2-6%인 반면 중국은 98%가 ‘3개월 이내에 사용했다’고 답할 정도니 더 말할 필요가 없겠습니다.
우버가 가장 좋은 예가 될 수 있습니다. 일본도 한국처럼 우버는 법적으로 금지돼 있습니다. 개인 차량을 이용한 유료 호출 서비스는 할 수 없는 것입니다. 디디추싱은 중국내 우버 사업을 인수하며 개인 차량 이용 서비스를 제공해 급격히 커진 업체입니다.
닛케이신문은 “일본 기업들이 규제에 막혀 손을 놓고 있는 사이 중국 기업들이 선수를 치고 있어 우려가 된다”고 전했습니다.
중국의 IT기업들이 일본의 문을 두드리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습니다만 표면적 이유는 중국 관광객들의 수요를 소화하기 위함입니다. 일본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2017년 1~11월 기준)수는 679만1500명으로 일본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 중 가장 많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4.2%나 증가한 수치로 무시할 수 없는 숫자입니다. 일본 택시업체 다이이치산업이 디디추싱과 제휴를 선택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면적 이유는 일본이 가진 상징성 때문인 것 같습니다. 일본은 아시아에서 가장 발전된 국가입니다. 일본 시장에서 성공한다면 다른 선진국 시장 진입도 용이해집니다. 중국 IT기업들은 일본 시장을 교두보로 삼아 세계를 노리고 있는 것 같습니다.
대한상공회의소 이경상 경제조사본부장은 지난해 12월 27일 국회에서 열린 ‘4차 산업혁명 관련 전문가 공청회’에서 “한국이 4차 산업혁명에서 중국보다 뒤진 이유는 기술이 아니라 규제 때문”이라며 “기업이 4차 산업혁명 등을 활용해 신규사업 추진하려 해도 규제 때문에 일을 벌이기 어렵고, 신제품을 개발해도 규제기준이 없어 출시를 하지 못하거나 지원이 없어 초기시장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에 따르면 한국은 MIT공대가 선정한 세계 50대 스마트기업에 단 1개 기업도 이름을 올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열리면서 새로운 것을 남보다 빨리 만들거나 변화에 바로 대응하지 못하면 살아남기 어려워졌습니다. 한국도 혁신을 이루기 위해 법·제도 체계에 혁신을 가져와야 할 때라 생각합니다.
sijeon@fnnews.com 전선익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