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자율주행 인명사고' 5G 첨단 ICT로 막을 수 있나?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3.25 15:28

수정 2018.03.25 15:28

우버 라이다 센서 한계 발생...5G와 V2X 등 통신기술로 극복 가능
최근 글로벌 차량공유업체 우버의 ‘심야 자율주행 테스트’ 중 발생한 첫 보행자 사망사고는 5세대(5G) 이동통신 기반 자율주행 고도화의 촉매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우버는 레이저빔을 이용한 라이다(LiDAR)와 레이더, 전·후방 카메라로 주변 사물 및 사람 등을 실시간 인식·대처하는 데 한계를 보였지만, 5G와 각종 차량통신기술(V2X)이 뒷받침될 경우 이같은 문제도 극복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우버 자율주행 차량이 자전거를 끌고 길을 건너는 보행자와 충돌하기 직전 영상 /사진=연합뉴스
우버 자율주행 차량이 자전거를 끌고 길을 건너는 보행자와 충돌하기 직전 영상 /사진=연합뉴스

25일 외신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우버 인명사고’는 자율주행모드가 아닌 인간 운전자였어도 피하기 어려웠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미국 애리조나주 템페 경찰이 지난 21일(현지시간) 공개한 사고 영상을 보면, 시속 약 60km로 달리던 우버 자율주행차는 어둠 속에서 차선 중간으로 횡단하는 여성을 인지하지 못해 발생했다. 경찰 측은 “자율주행이 아닌 인간 운전자라도 자전거를 끌고 갑자기 나타난 여성 보행자를 피하기 어려웠던 상황이었다”고 발표했다.
우버 자율주행차에 탑재된 카메라가 보행자를 인지한 후 약 1.5초의 시간이 있었지만, 어두운 도로에서 순식간에 이뤄진 일이었다는 게 경찰 측의 설명이다.

ICT 업계 관계자는 “향후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 등의 조사 진행과정을 좀 더 봐야한다”면서도 “라이다 센서와 운전자지원시스템(ADAS) 등에 특화된 우버 자율주행 기술의 한계가 드러난 사례”라고 분석했다. 완전자율주행차가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선 차량에 탑재된 장치 뿐 아니라 V2X와 지능형교통시스템(C-ITS) 등 인프라가 뒷받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른바 ‘협력자율주행’이다.

SK텔레콤이 최근 공개한 5G 자율주행차 내부. 5G와 HD맵 등을 기반으로 사각지대에서 갑자기 도로에 뛰어든 어린이를 즉각 확인한 자율주행차가 스스로 멈춰서고 있다. /사진=SK텔레콤
SK텔레콤이 최근 공개한 5G 자율주행차 내부. 5G와 HD맵 등을 기반으로 사각지대에서 갑자기 도로에 뛰어든 어린이를 즉각 확인한 자율주행차가 스스로 멈춰서고 있다. /사진=SK텔레콤

그동안 구글과 우버 등이 주력해 온 라이다 기반 자율주행은 악천후나 사각지대에서 발생하는 돌발상황을 인지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라이다와 함께 3차원(3D) 고화질 지도(HD맵)와 V2X 등을 결합하면 주행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앞서 SK텔레콤은 지난달 경기도 화성에 위치한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K-시티’에서 5G 시험망을 기반으로 자율주행차 2대가 각종 교통 정보를 주고받으면서 달리는 협력자율주행 시연에 성공한 바 있다.
특히 내년 3월 초저지연(0.001초 내 반응) 특성을 갖춘 5G망이 상용화되면 기상악화나 심야주행 등 특수 환경에서 보행자나 다른 차량이 갑자기 뛰어들어도 실시간 교통상황 정보 교류로 자율주행차 사고 확률을 줄일 수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국토교통부도 ‘스마트 자율협력주행 도로시스템 연구개발’을 진행 중이다.
국토부 첨단자동차기술과 관계자는 “최근 폐쇄된 여주시험도로에서 감지기가 인식하기 어려운 상황을 연출한 뒤, 자동차가 도로 인프라와 주변 차량 등으로부터 정보를 받아 스스로 차로를 변경하거나 감속하는 상황을 시연했다”며 “오는 2020년에는 일반 도로에서도 자율주행차가 도로 인프라나 다른 자동차와 통신하며 스스로 위험상황을 극복하는 자율협력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