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전당대회에서 어떤 지도부가 탄생해야 하나?
▲지난해 대선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당선시킨 것은 국민의 선택이었고, 올 지방선거는 취임이후 ‘나라다운 나라’를 만들려고 물심양면 노력해온 문대통령 덕분에 놀라운 성과를 거두었다. 지금부터는 당이 나서서 일을 해야 한다. 2020년 총선에서 국민들의 평가를 받기 위해서는 정부가 일할 수 있도록 당이 주도해서 입법노력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야당과 충분히 대화하고, 야당을 설득하면서 각종 개혁 및 경제관련 법안을 처리할 수 있는 지도부가 탄생해야 한다,
―시급히 처리해야 할 입법과제가 있다면.
▲국정원법,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설치법, 기무사 관련법 등 ‘국가기관 바로 세우기 입법’을 이뤄내야 한다, 또 소득주도성장과 더불어 혁신성장을 이뤄내기 위해서는 각종 규제관련법을 국회에서 개혁해 줘야 한다, 무엇보다 규제개혁법의 정기국회 처리가 중요하다고 본다, 이런 법안들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대화하고 타협해서 야당을 입법과정으로 끌어들이는 역령과 자세가 꼭 필요하다.
―대통령 지지도가 점차 거품 빠지고 정상화되고 있다. 이제는 냉정하게 성과로 국민들에게 보여줘야 할 때인데.
▲국민들 피부에 와 닿은 경제성과가 문제다, 그런데 경제성과는 하루아침에 확 나아지지 않는다. 그러나 경제가 나아지는 방향으로 가고 있구나 하는 기대감을 국민들이 갖게 하는 게 중요하다. 지금껏 정부가 취해온 포용성장, 소위 소득주도성장이 경제적 약자를 부양하기 위한 정책이란 걸 국민들도 알게됐다. 그런데 그것만으로는 안 되기 때문에 문 대통령이 혁신성장을 통해 성과를 내라고 내각에 얘기했다. 근데 별로 진척이 없다. 입법이 안 되기 때문이다. 공무원들은 체질상 입법이 돼야 움직인다. ‘법으로 안 되게 되어 있는 것만 빼놓고는 다 하라’고 대통령이 지시를 했는데, 잘 움직이지 않는다, 공무원은 감사나 신분 등을 고려해 법에서 규정하지 않으면 움직이지 않는다. 그래서 국회가 일하는 것이 중요한데, 그것은 당의 몫이다.
―‘당원의 대변인’, ‘문재인의 대변인’을 내걸고 전당대회 최고위원 선거에 출마했는데.
▲지난 2012년 대선과 2017 대선에서 문재인 후보의 ‘대변인’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격인 국정기획자문위원회에서도 대변인을 맡아 문 대통령의 국정철학을 잘 이해하고 있다, 성공한 국민을 만드는 것이 정치하는 이유다. 그러기 위해서는 성공한 대통령을 만들어야 한다. 그래야 우리 국민들이 성공한 국민이 된다. 아울러 성공한 국민이 돼야 민주당의 연속집권이 가능하다. 나는 대통령의 국정운영 철학 오랫동안 지켜봐 누구보다 자신 있다. 또 언론인 출신으로서 안정감과 균형감각을 가졌다고 생각한다.
―권리당원 전원투표제를 핵심으로 하는 당원 권한강화 공약을 내세웠는데.
▲당원들의 정치적 책임으로 키우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 정당의 주인인 당원이 진정한 주인이 되게 하려면 우선 권리당원 전당원 투표가 확립되어야 한다, 공직후보자의 경우는 국민 반, 당원 반으로 선출하는데, 당대표는 대의원 절반, 권리당원 절반으로 뽑는다. 현재는 대의원 1명이 권리당원 50명의 투표권에 맞먹는다. 당원이라는 확고한 인식이라는 기반에서 정당 혁신을 해 나가야한다. 모든 당원에게 투표권은 평등하게 보장하되, 당내 최고 대의기관인 대의원들에게는 주요 정책토론을 통한 정책결정과 당의 예산 등을 심의·의결하도록 해 권한과 위상을 강화시켜 주면 된다. 또 광역단체장 공천권도 시도당에 넘겨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기초단체장공천권은 시도당에 있지만 광역단체장 공천권은 중앙당에 있다. 당원이라는 당의 주인이라는 확고한 인식하에 정당혁신을 해 나가야한다.
―‘민주당 정부’가 되어야 하는데, ‘청와대 정부’가 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개혁작업을 청와대가 주도해서 나온 애기인데, 책임정치 차원에서 바람직스럽지 못하다는 지적이 있다.
▲청와대는 조타수같은 역할을 해야 한다. 국정 아젠다의 기획, 아이디어와 지향성, 이런 걸 정확히 제시하는 역할이다. 국회는 정부가 일할 수 있도록 장을 마련해줘야 한다. 앞으로 당이 좀 더 주도적으로, 선제적으로 정책을 주도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번에 선출되는 새 지도부는 다양한 틀의 당정청회의체를 마련해야 한다. 그래서 의원들이 역할을 하게 해야 한다. 각 상임위별로 밀도있는 기구를 만들어 국회의원들 단 한 사람 소외되지 않도록 하겠다. 각 소속 상임위 별로 국회의원, 장관, 부처 실무자, 청와대 수석실 관계자들로 해서 심도깊은 정책협의가 이뤄져야 한다. 그렇게 되면 당이 주도하는 정치를 실현할 수 있다.
―충청권 대의원들에게 어떤 점을 어필했나?
▲충남은 유관순, 조병옥, 한용운 선생 등 수많은 애국자를 배출한 충절의 고장이다. 충남의 충절과 애국의 정신은 결국 주권을 찾자는 정신이라고 생각한다, 이같은 충청의 주권정신을 당 개혁을 위한 정신으로 삼아야 한다. 대전에는 으능정이가 있다. 으능정이는 천년을 더 산 은행나무가 의연히 버티고 서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같은 정신으로 우리도 100년 1000년 넘도록 국민과 당원지키는 정당으로 자리하자고 했다.
아울러 행정수도 세종, 과학수도 대전의 성공을 위해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다. 세종은 지역분점과 균형발전의 상징적 역사다. 대전은 4차산업의 중심지역이 되아야 하고, 충남은 R&D직접센터 등을 중심으로 국토의 중심으로 자리잡게 해야 우리의 미래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양승조 충남지사, 허태정 대전시장, 이춘희 세종시장과 지역 국회의원들, 그리고 지방의원님과 협조해서 결정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상임위에서 이 부분의 예산확보나 정책수립에 각별하게 관심을 갖고 열심히 하겠다.
seokjang@fnnews.com 조석장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