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문화 확산에 따라 레저·관광 수요가 증가하면서 해양관광이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기여도가 높은 유망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유엔관광기구는 관광인구가 2030년 18억명까지 증가하며 미래 10대 관광 트렌드 절반이 해양에서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해양관광 수요는 국내에서도 강릉선 KTX와 상주·영덕 고속도로 개통 등 해안지역 접근성 개선과 근무시간 단축에 따른 여가 확대로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2017년 해양관광 이용 실태조사에 따르면 해양관광 이용경험은 99.3%로 해양레저, 어촌체험마을, 해양스포츠 등으로 다양화되는 추세다.
더구나 모바일·온라인·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한 정보 공유와 예약으로 접하기 어렵던 수중레저, 마리나, 크루즈 등 고부가가치 해양관광 수요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욜로(YOLO)족 증가 등 최신 트렌드 확산으로 크루즈, 마리나 등 고부가가치 해양관광 수요는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 해양레저관광은 서핑, 수중레저, 카누·카약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면서 지난해 이용객 580만명을 기록했다. 하지만 해양관광산업 발전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국가관광정책은 산, 둘레길, 자전거, 캠핑, 문화재 등 주로 육상자원 중심으로 추진돼 왔다. 어촌은 바다, 섬, 해양레저, 어항, 수산자원 등 다양한 해양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성장 잠재력이 풍부하다. 하지만 관광 인프라가 부족하고 노후화돼 갯벌, 어업체험 등 콘텐츠가 한정돼 있고 경기·경남 등 특정지역에만 편중돼 왔다.
그동안 해양관광 육성사업은 시설과 인프라 조성에 집중되고 단순 체험행사 위주로 추진돼 장기체류 관광객 유치에 한계가 있었다. 더구나 서핑이나 카약 등 해양레저 인구 증가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육성정책이 없었고, 해양관광레저 활동에 대한 조사 미흡 등 법·제도 기반이 부족했다. 이에 정부가 5년 내로 단순한 낚시나 해수욕장 방문이 아닌 마리나, 크루즈 관광 등을 즐기는 해양레저 관광객 1000만명 시대를 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고부가가치 해양관광산업 육성을 위해 마리나산업 기반 조성에 나서고 크루즈산업 체질개선 작업도 한다. 부족한 국내 크루즈 수요를 늘리기 위해 크루즈 체험단 확대 운영, 방송 홍보 등도 강화키로 했다. 다이빙 등 수중레저산업 활성화를 위해 수중레저에 적합한 해역을 연내 지정하고 다이빙센터, 해중전망대 등 해중공원 시범사업을 2020년부터 추진한다.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가 되면 가장 큰 폭으로 성장하는 분야가 해양레저산업이라고 한다. 해양레저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서 지난 10년 사이 레저용 보트 수가 10배 가까이 늘어났다는 통계가 있다. 그런데도 여전히 제도적 미비점이 많다. 현재 '마리나정비업'이라는 개념도 없어서 레저보트를 오토바이 정비소나 카센터에 가서 수리하고 있다. 정부도 해양레저관광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 아울러 추진체계 확립과 산업통계 구축을 통해 고품격·고부가가치 해양관광산업을 육성,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보탬이 되고 모든 국민이 해양레저의 즐거움을 누릴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
yccho@fnnews.com 조용철 문화스포츠부 차장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