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대우는 20일 제약·바이오업종의 연구개발비 회계처리 감독 지침이 발표 되면서 불확실성 우려가 해소됐다며 투자의견 ‘비중확대’를 제시하고 탑픽(최선호주)으로 한미약품, 셀트리온, 메디톡스를 추천했다.
전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제약·바이오 기업의 연구개발비 회계처리 관련 감독지침’을 발표했다. 주된 내용은 신약은 임상3상, 바이오시밀러는 임상1상부터 연구개발비의 자산화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김태희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이번 발표에선 최근 진행됐던 금감원의 감리 결과에 대해서는 제약·바이오 기업이 스스로 과거의 회계처리 오류를 수정할 수 있도록 경고, 시정요구 등을 통해 계도하기로 했다”며 “이 과정에서 영업손실이 증가해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있는 기업에 대해서는 기술특례기업 상장요건을 준용해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고 언급했다.
미래에셋대우는 이번 발표가 그간 제약·바이오업종의 가장 불확실성을 완전히 해소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평가했다.
지난 4월 초 제약·바이오 주가 하락의 가장 큰 요인은 연구개발비 회계처리 이슈로 꼽힌다. 금감원의 감리 착수와 제재 가능성이 언급되면서 이에 대한 우려가 커졌고, 8월 중순 제약·바이오 업체는 과거 재무제표 정정 공시 및 연구개발비의 비용처리 비율을 높였지만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없는 상황이었다.
김 연구원은 “하지만 이번 금융당국의 공식 가이드라인으로 감리를 받은 22개사 포함 제약·바이오 업체의 불확실성은 완전히 해소됐다는 판단”이라며 “특히 이번 발표의 가장 큰 수혜주는 바이오시밀러 업체”라고 말했다.
신약 개발의 경우 ‘임상1상과 2상은 비용 처리,임상3상은 자산화 처리’가 일반적이고 이에 특별한 이견도 없었지만, 바이오시밀러 개발의 경우 새로운 분야다 보니 기준이 없었다. 1H18 기준 셀트리온의 연구개발비의 73.8%, 삼성바이오에피스는20.5%를 자산화 처리했기에 신약 개발과 같은 기준을 적용하면 수익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었다.
하지만 바이오시밀러 임상1상 비용의 자산화가 가능해졌기에 현재의 영업이익률은 유지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제약·바이오 업종에 대한 비중확대 의견을 유지한다”며 “그간 금융당국도 규제 완화를 언급했었기에 이번 가이드라인 발표가 이미 어느정도 주가에 선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공식 발표로 바이오시밀러 업체의 불확실성과 연속적자로 인한 관리종목 지정 리스크가 완전히 사라졌다는 점은 긍정적“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하반기 다양한 R&D 이벤트가 기대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비중을 늘려야 할 시기라는 판단”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바이오업종 탑픽으로는 파이프라인이 탄탄하고 R&D 모멘텀이 기대되는 한미약품과 연내 트룩시마와 허쥬마의 미국 허가가 예상되는 셀트리온, 내년 상반기 중국에서 보톡스 출시가 예상되는 메디톡스를 제시했다. 불확실성 해소와 R&D 성과가 기대되는 오스코텍도 하반기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