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악취관리 종합대책'을 수립해 이달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대책은 생활악취 배출원을 공장 등 배출시설 사업장과 하수처리장 등 공공환경 기초시설 등으로 분류하고 분야별 맞춤형 사업을 추진한다.
부산시는 먼저 주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하천, 맨홀, 정화조, 음식점 등에서 발생하는 생활악취의 현황을 파악하고 발생 원인을 분석해 완전 해소될 때까지 집중관리 한다
집중관리 대상은 맨홀(8만346개), 정화조(19만9744개), 지방하천(45곳), 직화구이 음식점(100㎡ 이상 831곳), 폐기물처리장(144곳) 등이다.
부산시는 두가지 방향으로 나눠 생활악취에 대응한다. 맨홀과 하천 등 공공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구·군, 환경공단 등에서 관리카드를 만들어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음식점과 정화조, 소규모 배출시설 등 개인시설은 악취방지시설 설치비용과 기술을 지원한다.
악취 분석 장비도 확충한다.
시는 6억5000만원을 들여 구입한 이동식 실시간 대기측정시스템을 다음달에 현장에 배치할 계획이다. 이 측정시스템은 악취 성분의 실시간 정밀분석이 가능하고 분석된 자료로는 공단지역 악취지도를 작성할 수 있다.
공공환경기초시설 악취 관리와 사업장배출시설 악취도 지속 관리한다.
하수·분뇨처리시설 13곳, 폐수처리시설 2곳,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 3곳 등 공공환경기초시설 18곳은 5년 주기로 악취기술진단을 벌여 연차 계획을 수립해 관리하기로 했다.
공장 등 악취배출 사업장 1737곳은 매년 5억원을 들여 악취방지시설 개선사업을 지원한다.
악취 예방에도 나선다.
악취발생 우려지역을 중심으로 기동순찰반 운영키로 하고, 무기계약직 근로자 2명을 직접 채용할 계획이다.
기동순찰반이 운영되면 구·군의 인력 부족으로 관리가 소홀했던 하천, 유수지 등에 대한 상시 순찰이 가능해진다.
부산시 관계자는 "생활악취 민원은 점차 늘고 있지만 관련 규제기준이 없기 때문에 완전히 해결되지 않고 같은 민원이 반복해 제기되는 실정"이라며 "도심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원인별로 분석해 근본적인 해소책을 찾아가겠다"고 말했다.
bsk730@fnnews.com 권병석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