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자신의 행복과 만족을 위해 도시를 벗어나 농촌에 자리 잡으려는 젊은 세대가 늘고 있다. 특히 귀농, 창농에 대한 관심은 다양한 세대에 고르게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30~40대는 농촌의 정서가 낯설고 50~60대는 농사일이 힘이 부친다. 세대를 떠나, 새로운 출발을 위해서는 '정보와 기술, 경험을 통한 노하우' 모두가 필요하다.
서울시는 귀농을 희망하는 시민이 농촌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농촌에서 생활하며 귀농교육을 받는 '체류형 귀농지원' 사업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2019년도 '체류형 귀농교육'을 경북 영주, 전북 무주와 고창, 전남 구례와 강진, 충북 제천 등 6개 지역에서 한다며 예비 귀농인을 모집한다고 19일 밝혔다. 귀농 교육기간은 최소 4개월에서 최대 10개월이다.
예비귀농인으로 선발되면 거주공간, 귀농교육장, 실습텃밭이 한 곳에 모여있는 '체류형 귀농학교'에 입교해 생활한다.
이때 서울시는 체류형 귀농학교 입교비용의 60%를 지원한다.
체류형 귀농학교는 3년 내외의 신축 또는 리모델링 시설로 거주공간과 귀농교육장, 실습텃밭이 한곳에 모여 있어 원스톱 체험이 가능하다.
체류형 귀농교육의 장점은 과수, 양봉, 채소, 약초 등 농산물의 주산지에서 해당 품목의 재배 전 과정을 이론과 실습으로 구성된 체계적인 교육을 받으며 농촌에 적응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 지역적 특성에 맞는 맞춤형 영농교육과 실제 농사를 짓는 작물별 전문 농업인을 멘토를 지정해 준다. 농업현장에서 지역 농업인과 교류할 수 있는 기회도 다양하다.
직장생활을 하다 퇴직하고 귀농귀촌 관련정보를 수집하다가 체류형 귀농사업을 신청한 박병원씨(57). 체류형 귀농교육은 농사를 지어본 적이 없는 도시민에게 적합하다고 말한다.
체류형 귀농사업을 신청한 박병원(57)씨는 귀농한뒤 사과농사를 지을 계획에 영주시 농업인대학 사과반에서 재배기술등의 교육을 받았다. 그는 현재 귀농의 꿈을 이루기 위해 농사지을 땅을 구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이 사업을 시작한 서울시는 체류형 귀농학교에 입교해 교육을 수료한 참여자 가운데 약 40%가 귀농했고 대다수의 예비귀농세대는 교육 정보를 기반으로 농지구입 등의 구체적인 귀농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체류형 귀농학교를 수료한 최승식(59)·김화숙(60)씨 부부는 경북 영주로 귀농해 사과농사를 짓고 있다. 최씨는 귀농전 서울에서 고등학교 수학교사를 했다.
서울시 '체류형 귀농교육' 접수는 내년 1월 7일부터 2월 1일(금)까지 한다. 지역별 운영현황 및 지원 사항 등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화는 서울시 도시농업과(2133-5396)나 해당 지역의 농업기술센터로 하면 된다.
송임봉 서울시 도시농업과장은 "'서울 체류형 귀농교육'은 체류비용의 부담을 덜고 안정적인 여건에서 맞춤형 영농교육을 받을 수 있는만큼 귀농 계획이 있는 예비귀농인에게는 좋은 기회가 될 것" 이라고 말했다.
dikim@fnnews.com 김두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