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수소경제 로드맵] 2040년 수소차 620만대 보급… 2025년 3천만원대 반값 공급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1.17 17:46

수정 2019.01.17 17:46

中·日 수소차 생산목표 앞질러..충전소도 14개→1200개로 확대
파급효과 큰 자동차 집중 지원..2022년 핵심부품 100% 국산화
발전·가정용 등 연료전지 육성..올해 지원·규제완화 관련법 제정
[수소경제 로드맵] 2040년 수소차 620만대 보급… 2025년 3천만원대 반값 공급

문재인 대통령이 17일 울산시청 수소 활용 전시장을 찾아 김세훈 현대차 연료전지사업부장에게 수소전지차 넥소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7일 울산시청 수소 활용 전시장을 찾아 김세훈 현대차 연료전지사업부장에게 수소전지차 넥소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오는 2040년을 목표로 '수소경제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현재 2000대 수준(2018년 누적)의 수소차를 오는 2040년 620만대로 확대한다. 세계 1위 점유율이다. 수소 택시, 수소버스는 12만대로 늘린다. 14곳에 불과한 수소 충전소도 1200개소로 확장한다.
아울러 수소 생산과 연계한 발전용 연료전지를 15GW 이상으로 확대해 국가 에너지원으로 활용한다.

정부는 수소경제 이행 계획 및 지원, 규제완화 등의 법적 기반을 담은 수소경제법(가칭)을 올해 안에 만들 계획이다.

17일 정부는 울산시청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수소의 생산·저장·운송·활용 전 분야의 목표를 담은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했다.

■2040년 충전소 1200개소로

이번 로드맵에는 수소차·연료전지를 양대 축으로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가겠다는 비전이 담겨 있다. 올해부터 2040년까지의 큰 그림이다.

핵심은 전후방효과가 큰 자동차 분야다. 수소차 부품수는 2만4000여개로 내연차(3만개)와 비슷하다. 현재 완성차 부품 생태계와 연계가 수월하다는 얘기다. 2040년까지 수소차 생산 목표는 620만대(누적)다. 수출 330만대, 내수 290만대로 잡았다. 중국은 2030년 수소차 100만대, 일본은 80만대를 보급한다는 목표로 수소차 시장 선점경쟁이 뜨겁다.

문제는 차량 가격이다. 정승일 산업부 차관은 "2022년까지 핵심부품 국산화율 100%를 달성하고, 2025년까지 연 10만대 양산체계를 구축한다. 이렇게 되면 수소차 가격이 내연기관차 수준(3000만원대)으로 하락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수소 승용차는 900대 정도인데, 보조금 지원 등을 통해 올해 4000대 이상을 새로 보급할 계획이다.

수소차는 현대차가 지난 2013년 글로벌 완성차 업체 중 가장 먼저 상용화했다.

수소충전소는 2022년 310개소, 2040년 1200개소로 늘려간다. 수소 충전소 경제성이 확보되기까지 정부는 충전소 설치 및 운영보조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기존 액화석유가스(LPG)·압축천연가스(CNG) 충전소를 수소충전이 가능한 융복합 충전소로 전환한다.

수소에너지는 발전 및 가정·건물용 연료전지로 육성한다. 분산형 에너지원으로 탄소배출이 없어 온실가스와 미세먼지 감축 효과가 크다.

우선 발전용 연료전지는 2022년까지 1.5GW 규모로 키운다. 원자력발전 1기 설비용량(1.4GW)보다 많다. 이를 2040년에는 10배 많은 15GW 수준으로 확대한다. 가정·건물용 연료전지는 2022년 50㎿로 늘렸다가 2040년 2.1GW(94만가구)규모로 보급을 확대한다.

■수소 생산·저장·운송 시스템 구축

이 같은 수소경제의 실현을 위해선 충분한 양의 수소를 생산해야 한다.

우선 정부는 석유화학 공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부생 수소 5만t을 초기에 핵심 공급원으로 활용한다. 또 천연가스 공급망에 대규모·거점형 수소생산기지, 수요처 인근에 중소규모 수소 생산기지를 구축한다. 대규모 태양광·풍력발전과 연계해 수소를 대량생산하는 '수(水)전해'와 해외에 수소생산 거점을 만들어 수입한다는 계획이다. 이렇게 해서 연 13만t(2018년) 정도인 수소공급량을 2040년 526만t, 가격은 1kg에 3000원 선으로 낮추겠다는 것이다.

수소를 안전하게 저장·운송하기 위해 정부는 수요가 많은 곳부터 수소 주배관을 건설하고, 장기적으로 전국에 파이프라인을 연결한다는 계획이다.


이처럼 정부는 수소 생산·저장·운송 등 수소산업 전주기에 걸친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렇게 되면 민관의 대규모 투자가 마중물이 돼 2040년 연간 부가가치 43조원, 일자리 42만개를 창출할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온실가스도 2700여만t 줄일 수 있다.

skjung@fnnews.com 정상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