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인공강우 첫 실험은 실패로..기상청장 "가능성 확인"

김경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2.27 12:00

수정 2019.02.27 12:00

미세먼지 저감 효과 분석을 위해 인공강우 실험이 열린 지난달 25일 기상항공기가 경기 남서부 지역 인근 서해 상공에서 '구름 씨'가 될 요오드화은 연소탄 발포를 마치고 이동하고 있다.
미세먼지 저감 효과 분석을 위해 인공강우 실험이 열린 지난달 25일 기상항공기가 경기 남서부 지역 인근 서해 상공에서 '구름 씨'가 될 요오드화은 연소탄 발포를 마치고 이동하고 있다.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첫 인공강우 실험이 실패했다. 일부 섬에서 비 구름이 만들어졌지만 내륙까지 도달하지 못했다. 기상청은 의미 있는 미세먼지 저감 효과는 없었다고 밝혔다. 구름씨 살포 효과를 사전에 평가할 수 있는 수치모델을 개선하고 인공강우 기술 향상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기상청과 환경부는 27일 합동브리핑을 열고 지난달 25일 서해상에서 진행했던 인공강우 실험에 대한 상세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은 기상항공기를 이용한 인공강우 실험을,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인공강우로 인한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분석했다.


인공강우 실험을 통해 구름씨 살포 후 대기 중 구름발달이 확인됐고, 일부 섬에서 강우가 감지됐지만 지상 부근 대기가 건조해 내륙에서는 강우가 감지되지 않았다.

기상항공기에 장착된 관측장비로 구름내부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큰 구름과 강우 입자의 수가 증가했다. 기상레이더를 통해서는 하층 구름이 발달하는 것이 탐지됐다. 내륙에서는 강우가 감지되지 않았으나 일부 섬(장산도) 지역에서는 감지됐다. 이는 구름씨 살포로 발달한 하층운에서 약하게 강우가 생성됐으나 내륙은 지상 부근의 대기가 건조해 낙하하는 강우입자가 증발했기 때문이라고 기상청은 설명했다.

미세먼지 저감 효과는 인공강우 영향 예측 지역인 영광, 나주 등 내륙지역에서 강우가 관측되지 않아 확인할 수 없었다.

실험시작 후(10~13시) 목표 지역의 초미세먼지 농도는 일시적으로 감소했지만 이는 바람(풍속 증가)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고, 외부 공기 유입으로 14시부터 다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환경부는 전했다.

선박관측 지역에서는 초미세먼지 외부유입이 사전에 관측됐고, 실험 시작 후(10시~15시)에도 해상의 초미세먼지 농도는 계속 증가했다. 결론적으로 실험기간 미세먼지 농도의 감소는 풍속의 증가에 의한 것이었고 그 이후 다시 외부공기 유입으로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한 것이다.


김종석 기상청장은 "내륙 보다는 상대적으로 어려운 해상 실험에서 인공강우 가능성을 확인했다"면서 "증우량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이 시급한 만큼 향후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선진국과 기술 격차를 줄이겠다"고 말했다.

km@fnnews.com 김경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