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과학

윤호일 극지연구소장 "남극에선 선진국 따라잡아… 이젠 북극서 영향력 키울 때" [대한민국 혁신 이끄는 과학기술리더]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4.18 18:15

수정 2019.04.18 18:15

지중해 30배 크기 북극해..막대한 지하자원 차지하기 위한 보이지 않는 주도권 전쟁 치열
극지연구에 쇄빙선 역할 절대적
아라온호보다 큰 1만1000t급..두번째 예타 도전 잘 됐으면…
윤호일 극지연구소 소장이 지난 12일 인천 송도 한국해양과학기술원부설 극지연구소 1층 로비 홍보관에 전시된 북극곰 모형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극지연구소 제공
윤호일 극지연구소 소장이 지난 12일 인천 송도 한국해양과학기술원부설 극지연구소 1층 로비 홍보관에 전시된 북극곰 모형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극지연구소 제공

영하 30~40도 혹한의 날씨와 제한된 공간에서 소수 인원이 함께 생활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극지연구소에서 30년 넘게 극지연구에 몰두하고 수없이 남극기지에 다녀온 윤호일 소장은 "인간의 가장 낮은 밑바닥을 볼 수 있는 환경이며, 인간이 자연 앞에서 가장 겸손해지는 시간"이라고 말한다. 남극과 북극은 아직도 많은 것들을 인간에게 보여주지 않았고, 새롭게 연구해야 할 것들이 무궁무진하다. 윤호일 소장은 지난 12일 인천 송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에서 남극과 북극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주요 성과 등을 밝혔다.

■선진국들이 북극을 노리는 이유는?

세계 여러 나라들이 북극에 집중하는 이유는 지구 온난화라는 연구적 성격도 있지만 그 이면에는 지중해 30배 크기의 바닷속에 묻혀 있는 막대한 지하자원과 수산자원이 있다. 윤 소장은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해 빙하가 녹아 태평양과 대서양을 잇는 바닷길이 열린 탓에 더욱 핫하다"고 설명했다.
유럽으로 가는 물류비의 40%를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북극지역은 대부분의 영해가 미국·러시아 등 북극권 8개 국가로 둘러싸여 독자적 연구활동이 불가능하다. 우리나라 같은 비북극권 국가들은 그들과 우호적 신뢰를 얻은 후 개발이나 조업 때 공동협업하는 시스템으로 접근하는 전략을 펼쳐야 북극권에서 영향력을 확보할 수 있다. 윤 소장은 "극지연구소는 비즈니스를 하는 곳이 아니니까 그런 과학적 활동을 통해서 그들과 신뢰를 먼저 구축하고, 그 신뢰를 바탕으로 국내 기업 등에 다양한 경제활동 영향을 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북극권 학자들과 공동연구활동에도 쇄빙연구선이 절실함을 느낀 연구소는 아라온호(7800t)보다 큰 1만1000t급 크기와 쇄빙능력도 강화해 1200억원 정도의 쇄빙선박 건조를 추진 중이다. 아라온호가 있지만 현재 남극에 있는 세종·장보고 기지에서 연구하기 바쁘다. 극지연구소는 지난해 예비타당성조사에서 탈락 후 올해 재수하고 있다. 윤 소장은 "남극에서 30년 동안 선진국을 잘 따라잡았는데 북극에서도 격차를 줄이려면 쇄빙선의 존재가 절대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해 이번 예타가 잘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순수과학 너머 실용 추구

'지구온난화라는데 겨울이 왜 이렇게 추울까'라는 의문에서 시작, '커튼 이팩트'를 세계 최초로 규명한 게 극지연구소의 김백민 박사팀이다. 지구온난화로 바닷물 속 열을 가두고 있던 바다얼음이 사라져 북극해 상공으로 열이 방출된다. 방출된 열이 기압을 바꿔 시속 100㎞로 도는 제트기류를 느슨하게 만든다. 이 영향으로 컨튼콜처럼 어떤 때는 한반도 쪽으로, 미국 북동부 쪽으로 느슨해 한파와 폭설이 오는 것이다.

윤 소장은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예보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3년간 30억원을 더 투자할 예정이라고 향후 계획을 밝혔다. 그는 "예보를 할 수 있으면 국내 패딩업체나 아웃도어업체가 제품 만드는 시기를 조절해 기후경제에 의해 이윤을 더 창출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면서 순수과학이 기후경제에 미칠 영향까지 고려한 것이다.

극지연구소는 또 수십만년 동안 혹한에서 얼지 않고 살아온 남극 미세조류 유전자를 분석해 결빙 방지물질을 개발. 20억원에 산업체로 기술이전했다. 이 기술로 혈액을 장기보관할 길이 열렸다.

■눈앞의 이익보다 멀리 보자

윤 소장은 취임하면서 극지연구소가 한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내부 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생각에 문호를 개방하겠다고 선언했다. 윤 소장은 "극지연구는 집단지성이 필요한 거대과학으로 다른 연구기관에 문호를 개방, 현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을 포함해 다른 연구원과 극지 실용화 연구과제를 4개 진항하기로 협약했다"고 말했다.

윤 소장이 당장의 실익을 떠나 연구소의 지속적 성공을 위한 결정이 하나 더 있다. 중국과 일본도 하지 못한 북극 원주민 교육지원 프로그램으로 매년 2명씩 최근 3년간 지속해 오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연구소에서 체재비를 지원해 석·박사 과정을 밟게 하는 것으로 국제사회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윤 소장은 "이 프로그램을 통해서 우리 아군을 만든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극지연구소는 국제사회에서 '남극의 산타'라는 별명이 있다. 러시아 선박을 비롯해 올 초에는 조난당한 중국 극지팀을 구출했다.

윤 소장은 소장으로서 마지막까지 구조 결정을 내리기가 힘겨웠다고 그 당시를 회상했다.
구조 결정을 내리면 아라온호에 있던 연구원들은 1년 연구를 망치게 되기 때문이다. 그는 "그때 내가 좀 더 큰 그림을 그렸다.
(그들을 외면한다면) 국제적으로 한국을 보는 시선을 생각할 수밖에 없었다"고 회고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