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대통령실

조국 "배상·보상 차이 중요…강제징용 대법원 판결 부정은 친일파"

뉴스1

입력 2019.07.20 17:20

수정 2019.07.20 20:34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2019.2.15/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2019.2.15/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서울=뉴스1) 조소영 기자 =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은 20일 강제징용 피해자들에 대한 한국 대법원 판결을 부정하는 이들은 '친일파'와 다르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법학에서의 '배상'과 '보상'의 뜻 차이와 함께 1965년 체결된 한일청구권협정에서 이 부분이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설명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조 수석은 대한민국 대통령의 법률보좌가 업무 중 하나인 민정수석으로서, 또 법을 공부하고 가르쳐온 법학자로서 이 글을 쓴다며 "법학에서 '배상'(賠償)과 '보상'(補償)의 차이는 매우 중요하다. 전자는 '불법행위'로 발생한 손해를 갚는 것이고 후자는 '적법행위'로 발생한 손실을 갚는 것"이라고 운을 뗐다.

이어 "근래 일부 정치인과 언론에서 이 점에 대해 무지하거나 또는 알면서도 문재인 정부를 흔들기 위하여 황당한 주장을 펼치고 있다"며 한국이 앞서 한일청구권협정에 따라 일본으로부터 3억 달러는 받았지만, 이는 '배상'을 받은 게 아니었다고 말했다.
그는 "당시에도 지금도 일본은 위안부, 강제징용 등 불법행위 사실 자체를 부인한다"고 부연했다.

조 수석은 또 2005년 참여정부(노무현 정부) 시절 민관공동위원회는 Δ한일청구권협정으로 받은 자금에는 강제징용 피해자들에 대한 정치적 '보상'이 포함돼 있을 뿐 '배상'은 포함돼 있지 않다 Δ한국 정부가 일본 정부를 상대로 '보상'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지만 한국인 개인이 일본 정부의 불법행위에 대해 손해 '배상'을 청구하는 것은 가능하다고 정리했음을 적시했다.

아울러 그는 "2012년 대법원(제1부, 김능환 대법관 주심)이 '외교협정으로 개인청구권이 소멸할 수 없다'는 취지로 파기 환송하여 신일본제철에 대한 '배상'의 길이 열린다. 이 판결은 양승태 대법원장과 박근혜 청와대 사이의 '사법거래' 대상이 되었으나, 2018년 확정된다"고 썼다.

즉, 최근 일본의 대(對)한국 수출규제 강화 조치 원인으로 꼽히는 우리 대법원의 강제징용 관련 판결을 두고, 한편에서 한일청구권협정 및 참여정부 때 민관공동위원회 발표문을 근거로 '강제징용 문제는 이미 해결됐다'고 하는 데에 반박한 것이다.

우리 대법원은 지난해 10월 일본제철·미쓰비시(三菱)중공업 등 일본기업들을 상대로, 한국 내 강제징용 피해자들에 대해 손해배상을 명령하는 판결을 내렸다.

이에 일본 정부는 징용 피해자 등에 대한 배상 문제는 한일청구권협정 당시 한국 측에 제공된 총 5억 달러 상당의 유·무상 경제협력을 통해 "모두 해결됐다"며 우리 대법원의 판결은 국제법 위반이라고 비판했다.

조 수석은 이어 "1965년 이후 일관된 한국 정부의 입장과 2012년 및 2018년 대법원 판결을 부정, 비난, 왜곡, 매도하는 것은 정확히 일본 정부의 입장"이라며 "그리고 나는 이런 주장을 하는 한국 사람을 마땅히 '친일파'라고 불러야 한다고 생각한다. 일본 정부가 '경제전쟁'을 도발하면서 맨 처음 내세웠던 것이 한국 대법원 판결의 부당성이었다"고 지적했다.


조 수석은 그러면서 "'1965년 일본으로부터 거액을 받아 한국경제가 이만큼 발전한 것 아니냐?' 류의 표피적 질문을 하기 전에, 이상의 근본적 문제에 대해 한 번이라도 생각해보길 바란다"며 "일본의 한국 지배의 '불법성'을 인정하느냐가 모든 사안의 뿌리"라고 강조했다.

한편, 조 수석은 최근 일본의 수출규제 강화 조치가 있고 난 뒤 페이스북에 반외세·반봉건 의미가 담긴 '죽창가'를 들을 수 있는 링크를 올리거나, 매국, 이적 등의 단어를 쓰면서 적극적인 대일(對日)대응에 나서고 있다.


다만 한편에선 청와대 참모로서 감정에 호소하기보다 진중하고 무게감 있는 대응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