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동규 기자 = 환경부가 일본산 석탄재 수입 규제를 강화한다고 밝히면서 국내 시멘트 업계는 대체 석탄재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이에 일본처럼 국내 화력발전소의 환경부담금을 높여 국내산 석탄재가 시멘트 업계로 공급이 원활하게 갈 수 있게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현재 국내 시멘트 생산에 사용되는 석탄재는 작년 기준으로 315만톤(t)으로, 이 중 국내산과 수입산의 비중은 6대4의 비중을 차지한다. 환경부는 국산 석탄재 활용을 제안하는 등 대체 물량 확보에 나서겠다고 밝혔지만 시멘트 업계는 대체 물량 확보에는 일정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왜 시멘트 회사는 일본산 석탄재를 수입하나
시멘트 업계가 일본산 석탄재를 수입하는 이유는 국내 석탄재만으로는 필요 물량을 채울 수 없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1990년대 한국의 화력발전소는 석탄재 매립장의 수명을 늘리고, 재활용 확대를 목적으로 국내 시멘트업계에 석탄재 공급 제안을 했다. 이어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시멘트 업계가 필요로 하는 석탄재를 공급해 왔다. 그러나 2000년대 초반 화력발전소가 레미콘 업계에 톤당 3만원씩에 판매를 시작하면서 시멘트 업계로의 공급량이 대폭 줄어들었다.
이런 현상은 20여년이 지난 현재까지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작년 기준 국내 5대 화력발전소에서 나온 석탄재 발생량은 총 940만톤이었다. 이 중 677만톤(72%)이 레미콘·콘크리트 혼합재로 재활용됐고, 기타(성토재, 매립)용도로 160만톤(17%)가 재활용됐다. 그러나 시멘트 원료로는 오직 10%만인 94만톤만 재활용됐다. 작년 시멘트 업계는 총 187만톤의 국내산 석탄재를 사용했는데 나머지 93만톤은 5대 발전소를 제외한 나머지 민자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한 분량으로 충당했다.
즉 국내 5대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한 석탄재는 대부분이 레미콘 업계로 팔려 나가고 남는 부분에 대해서만 시멘트 업계로 들어갔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남는 분량에 대해서도 1만원만 환경부담금을 지불하고 화력발전소 자가 매립지에 매립하는 것이, 3만원을 시멘트 업계에 내고 처리하는 것보다 저렴하기 때문에 대부분 매립을 택한다는 것이 업계의 이야기다.
이런 상황 속에서도 자가 매립지가 없거나 매립지가 부족한 화력발전소는 타 매립지에 묻을 경우 10만원정도에 달하는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3만원만 내고 처리할 수 있는 시멘트 업계를 택한다. 결국 시멘트 업계는 국내산 석탄재를 활용하려면 기다리고 기다려야 하는기이한 구조에 직면해 있는 것이다.
◇국내 시멘트 업계 석탄재 사용 현황은?
석탄재는 화력발전소에서 석탄(유연탄·무연탄)을 연소한 후에 남는 재를 말한다. 시멘트의 성분 중 알루미나(Al2O3)의 공급원으로 사용하던 점토를 대신해 사용되는 원료다. 점토가 환경훼손 등의 이유로 사용이 제한되자 대체 원료로 석탄재를 활용한 것이다. 현재 국내 대부분의 시멘트 제조사는 석탄재를 필수 원료로 사용하고 있다.
시멘트 업계는 작년 총 315만톤의 석탄재를 원료로 사용했다. 이 중 187만톤은 국내산 석탄재를 사용했다. 주요 화력발전소에서 나온 94만톤에, 기타 화력발전소에서 나온 93만톤을 더해 187만톤의 석탄재를 사용하고, 128만톤 가량은 수입 석탄재를 사용했다.
작년 시멘트 업계가 사용한 128만톤 수입 석탄재의 대부분은 일본서 수입됐다. 이유는 일본 화력발전소들이 석탄재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톤당 약 20만원의 환경부담금을 내야 하는데, 이보다는 한국 시멘트 업체에 톤당 5만원 정도만 내면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국 시멘트 업체 입장에서도 가까운 해외에서 원료를 확보할 수 있기에 서로 이득이 되는 장사라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일본산 석탄재 대체 제대로 되려면
일본산 석탄재가 환경부의 규제로 인해 수입에 차질이 발생하면 당장 시멘트 업계는 대체 석탄재를 확보해야 한다. 추가 수입선이 마땅하지 않은 만큼 국내서 발생하는 석탄재 확보에 나서야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한국 화력발전소의 석탄재 매립 부담금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한국도 일본처럼 화력발전소가 지불하는 환경부담금을 높이면, 발전소 입장에서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석탄재를 처리해주는 시멘트 업계로의 공급량이 늘어 날 수 있다는 논리다. 현재 화력발전소가 한국 시멘트 업체에 석탄재를 보내면 톤당 약 3만원의 처리비용을 내야 한다. 자가 매립지를 갖고 있는 발전소의 경우에는 톤당 1만원의 환경부담금을 내고 매립을 하면 돼 굳이 톤당 3만원까지 지불하면서 석탄재를 시멘트 업계에 떠넘길 필요가 없다.
앞서 지난 8일 환경부는 국내에서 매립돼 재활용되지 않고 버려진 석탄재를 활용하는 방안과 석탄재 대체재 발굴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시멘트 원료로 사용될 수 있음에도 발생시기와 사용시기의 차이로 발전사에서 매립하고 있는 비산재(飛散灰)와 매립장에 기 매립된 석탄재 중 염분 함량이 낮은 석탄재 등의 활용을 검토중”이라고 설명했다.
시멘트 업계 관계자는 “환경부가 시멘트업계·발전사와 협의체를 구성해 국내산 석탄재 활용 방안에 대해 논의를 시작한 만큼 조금 더 추이를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