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22일 연제구 시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선7기 클린에너지도시 부산 실현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비전과 전략’을 발표했다.
시는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전력 보급률 20%(1665㎿ 생산), 에너지 효율화 18% 달성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 △에너지 효율화 및 수요관리 △에너지 신산업 육성 △시민참여형 네트워크 운영 등의 4대 추진전략을 선정했다.
지난해 부산의 신재생보급률은 2.56%이며, 발전량은 543㎿에 불과하다.
시는 이번 계획이 시민들이 주도하고 실행 가능한 목표치를 설정하기 위한 상향식 에너지 정책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우선 시는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를 위해 도시형 태양광을 늘리고 해상풍력단지 조성, 수소연료전지 보급 등을 추진한다. 임야 등 유휴부지가 부족한 시의 특성을 고려해 건물이나 지붕에 태양광 일체형 발전 시설(BIPV)를 적극 보급한다.
거기다 해상태양광, 부유식 풍력, 조류 등 신기술 실증을 통해 해양에너지를 개발할 계획이다. 해운대 청사포에는 고정식 해상풍력 발전기를 조성하고 향후 부유식 해상풍력을 설립한다. 이렇게 생산된 신재생 에너지는 2022년 367㎿, 2030년 1665㎿, 2050년 4039㎿까지 늘릴 계획이다.
시는 신재생에너지 생산과 더불어 에너지신산업 육성에도 소매를 걷었다. 세부 과제로는 클린에너지기술혁신기업을 2030년까지 130개 육성하고, 건물 일체형 태양광·부유식 풍력 등 신기술 R&D 실증사업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기로 했다. 또 파워 반도체 등 신산업 클러스터와 부산통합에너지센터을 설립한다고 밝혔다.
특히 서부산권은 항만시설과 연계한 ‘천연가스 추출수소 생산거점‘을 조성하고, 동부산권에는 해수시설을 활용한 수전해 수소생산 기술실증 및 상용화를 목표로 ‘수소융복합 실증단지’를 구축하는 등 종합적으로 부산을 해양수소 에너지 생산거점 도시로 조성해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4대 추진전략과 병행하여 에너지 자립실현을 위헤 기장군 월평마을에 에너지자립마을 모델로, 해운대 센텀2지구를 제로에너지도시 모델로, 사하구 을숙도를 수소기반 탄소제로섬모델로 시범 추진할 예정이다.
시는 이러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2030년까지 4조 4000억 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시는 이 같은 정책으로 인해 2030년 신재생 에너지보급률 20%를 달성하면 누적 생산유발 효과 4만 9001억 원과 고용효과 3만 7892명에 이르는 경제적 파급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demiana@fnnews.com 정용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