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울산시, 지방정부 최초 자체 지진방재종합계획 수립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8.27 16:19

수정 2019.08.27 16:19

막대한 석유화학시설과 원전 16기 밀집
방사능 유출 등 지진에 의한 복합재난 위험 높아
정부계획만으로는 한계..지역적 특수성 고려한 방재
 6대 분야별 전략과  68개 추진과제로 구성
송철호 울산시장 "울산의 지진방재 역량 향상시키는 계기"
【울산=최수상 기자】 울산시가 지방정부 최초로 지역적 특수성을 반영한 자체 지진방재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추진에 들어갔다. 울산은 우리나라의 경제·에너지 안보의 전략적인 요충지이자 산업 중심으로 대형 지진발생 시 복합재난이 발생해 대한민국의 안전을 위협할 가는성이 높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울산시는 27일 송철호 시장 주재로 ‘울산광역시 지진방재종합계획’ 수립 보고회를 개최했다.

울산시 지진방재종합계획은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지난해 말 완료한 ‘울산형 지진방재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조사연구’ 용역 결과를 토대로 기본계획과 분야별 추진과제를 마련했다.

지진방재종합계획은 6대 분야별 전략 및 중점추진 과제를 선정했다. 지진발생 상황단계에 따른 예방, 대응, 복구단계에서의 지진대책과 지진에 의해 발생하는 복합재난에 대한 대책으로 총 68개의 추진과제로 구성됐다.

6대 분야는 △교육·훈련 및 안전문화 조성 △정보감시·전달체계 구축 및 조사연구 △내진성능 확보 △구호·복구체계 구축, △재난대응 조직역량 강화 △지진 연계 복합재난 대책 마련 등이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울산은 지질학적 측면에서 지진발생요인과 재난 위험요인이 매우 큰 것으로 분석됐다.


우선 지질학적 측면에서는 지난 2011년 규모 9.0을 기록한 일본의 도후쿠 지진과 규모 7.3을 기록했던 구마모토 지진과 밀접한 쓰미마-고토단층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실제 2016년 울산 앞바다에서 규모 5.0의 지진이 발생했다.

특히 울산은 활성단층으로 추정되는 울산단층, 동래단층, 양산단층, 모량단층 위에 놓여 있는데다 울산 전체면적 중 여의도면적의 6.8배 가량의 연약지반이 존재해 지진피해 증가가 우려되고 있다.

재난 위험요인 측면은 국내 최대 산업·에너지 시설과 원자력발전소 집적지 등 2가지 요소다. 울산은 자동차, 조선해양, 석유, 화학 등이 제품생산이 전국 최대다. 우리나라의 에너지 허브로서 세계 4대 액체 물류항의 위상과 함께 정유 및 저장시설이 밀집된 ‘지상유전’으로 불리고 있다.

또 울산을 중심으로 월성과 고리 등 16기(가동 12기, 건설2기, 계획 2기)의 원자력발전소가 집적된 곳으로 원전 전력생산규모는 전국 53.5%를 차지하고 있다.

때문에 지진발생 시 설비와 저장시설이 손상을 입을 경우 유해화학물질 유출과 환경오염 등 복합재난이 발생할 위험이 크고, 특히 원전 가동 중단 시 대규모 정전과 함께 방사능 유출 등 치명적인 사고발생 가능성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울산시 관계자는 “정부의 5년 단위 지진방재종합계획만으로는 동남권 지역의 지진발생 증가와 원자력발전소 및 석유화학산업 시설 밀집 등 울산의 지역적 특수성과 환경 반영에 한계가 있다”며 이번 자체 지진방재종합계획 수립의 배경을 설명했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맞춤형 지진방재종합계획 수립은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청사진을 제시하고 정부의 계획만으로 다루기 어려웠던 울산의 지진방재 역량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ulsan@fnnews.com 최수상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