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정부, 접경지역에 ‘뒷북’ 항공 방역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10.06 17:57

수정 2019.10.06 17:57

멧돼지 ASF 부실대응에 확산 우려
軍 "DMZ 넘어온 멧돼지 사살"
北 공조 없는 방역 실효성 의문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장기화로 돼지고기 소매가격 상승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6일 경기 포천 소재 한 양돈농가에서도 ASF 의심 신고가 접수됐다. 이날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돼지고기를 판매하고 있다. 뉴스1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장기화로 돼지고기 소매가격 상승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6일 경기 포천 소재 한 양돈농가에서도 ASF 의심 신고가 접수됐다. 이날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돼지고기를 판매하고 있다. 뉴스1
경기 연천 비무장지대(DMZ)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가 검출되자 정부가 뒤늦게 접경지역에 대한 긴급방역에 돌입, '뒷북대책' 논란이 제기된다. 그나마 북측의 공조 없이 우리측 영토에서만 이뤄지는 것이어서 실효성에 의문마저 대두된다. 방역당국의 야생멧돼지 질병관리를 위한 인력 부족과 예산 문제 등은 ASF 바이러스 확산 우려를 높이고 있다.

6일 농림축산식품부 등 방역당국에 따르면 환경부는 지난 2일 연천 DMZ에서 발견된 야생멧돼지 폐사체 혈액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정밀진단한 결과 ASF 바이러스가 검출됐다.

야생멧돼지 예찰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감염원인 야생멧돼지를 통한 2차 감염 가능성이 제기된다. 북한 유입 가능성이 커진 것이다. 멧돼지 등 돼지류는 ASF 바이러스에 극히 미량만 노출돼도 감염될 수 있다.

뒤늦게 국방부, 농식품부, 산림청 등 관계부처는 헬기를 투입해 DMZ와 민간인통제선 이북 접경지역 일대에서 항공방역에 돌입했다. DMZ를 넘어 일반전초(GOP) 철책을 통과하는 야생멧돼지는 발견 즉시 사살하는 지침도 군에 내려졌다.

초기방역이 부실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과 함께 그동안 야생멧돼지를 통한 유입 가능성이 없다고 거듭 강조해온 정부의 주장도 설득력을 잃고 있다.

지난 5월 북한에서 ASF 발생 이후 정부가 2차례 방역협력을 제안했지만, 북측은 여전히 별다른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는 점도 접경지역 방역의 한계로 꼽힌다.

정부의 야생멧돼지 ASF 방역대책이 부실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김현권 국회의원이 농림축산검역본부의 야생멧돼지 돼지열병(CSF) 검사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오는 7월말까지 CSF 감염으로 숨진 멧돼지 폐사체는 경기·강원에만 1만4320마리로 추정된다. CSF는 ASF와 유사한 질병이다.

하지만 야생동물 질병관리기관인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이 지난 8월말까지 경기·강원에서 발견한 멧돼지 폐사체는 34마리에 불과하다. 야생멧돼지 질병관리가 매우 허술하다는 의미다.

김 의원은 "야생멧돼지 질병관리 허술은 다름 아닌 턱없이 부족한 예산과 인력이 빚은 예고된 부실"이라고 꼬집었다. 실제 국립환경과학원 생물안전연구팀 수의직은 3명이지만 현재 1명은 환경부에 파견됐고, 또 다른 1명은 휴직 상태다. 현재 수의사는 1명에 불과하다.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본부 역시 지난해 10월 광주광역시에 청사를 준공했지만 인력이나 예산에 대한 부처 간 협의가 마무리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방역정책 전반을 총괄하는 농식품부의 방역대책도 농가에서 사육하는 집돼지 중심이어서 야생멧돼지 감염 확산 가능성을 증폭시키고 있다.
한편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ASF 방역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고양·양주·포천·동두천·철원은 현재보다 더 강한 대책이 필요하다"며 "발생지역과의 경계선, 타 권역과의 경계선에서 소독과 이동통제를 강화하고 농장을 방문한 축산차량은 다른 농장을 방문하면 한번 더 소독해달라"고 당부했다.

ssuccu@fnnews.com 김서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