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외교/통일

강경화, 뉴질랜드 외교장관과 회담.."양국 실질 협력 강화"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10.29 18:03

수정 2019.10.29 18:03

文 뉴질랜드 방문 당시 논의됐던 e-Gate 전면시행
워킹홀리데이 확대, 방산 협력 강화 등 논의 이뤄져
강경화 외교부 장관(왼쪽)이 윈스턴 피터스 뉴질랜드 부총리 겸 외교부 장관과 악수하고 있다. /사진=외교부
강경화 외교부 장관(왼쪽)이 윈스턴 피터스 뉴질랜드 부총리 겸 외교부 장관과 악수하고 있다. /사진=외교부
[파이낸셜뉴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29일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방한 중인 윈스턴 피터스 뉴질랜드 부총리 겸 외교장관과 회담 및 오찬을 갖고 양국 간 실질협력 강화방안과 한반도 정세, 주요지역 국제 현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한-뉴질랜드 양측은 두 나라가 한국전쟁에서 함께 싸운 소중한 우방이며, 민주주의 및 시장경제 등 기본가치와 지역‧국제 현안에 대한 이해를 공유하는 중요한 협력 파트너로서, 앞으로도 전 분야에 걸쳐 양국관계의 지평을 넓혀 나가자는 데 뜻을 같이 했다.

특히, 양측은 지난 지난 25일 울산에서 열린 뉴질랜드 군수지원함 '아오테아로아' 명명식에 이낙연 국무총리와 팻시 레디 뉴질랜드 총독 등 양국 최고위급 인사가 참석한 것은 긴밀한 국방‧방산 협력 및 양국관계의 각별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이런 협력 경험과 올해 5월 체결된 한-뉴질랜드 군용물자협력약정을 토대로 방산 분야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또 무역과 투자, 인프라 등에서도 경제 협력을 강화시키고 수소 에너지와 남극 연구 분야 등에서의 협력도 진전시켜 나가기로 했다.


이번 회담에서는 양국간 풀뿌리 차원의 인적교류 확대와 관련하여 다양한 성과가 도출됐다.

한-뉴질랜드 양국은 우리 국민이 뉴질랜드를 갈 경우 얼굴 인식만으로 편리하게 출입국 수속이 가능하도록 'e-Gate(자동여권심사)'를 오늘부터 전면 시행키로 하고, 다음달 23일 에어 뉴질랜드의 인천-오클랜드 직항 노선 취항도 환영했다.

자동여권심사는 지난해 12월 문재인 대통령의 뉴질랜드 방문 시 논의된 것으로 1년이 안 돼 실질적 성과물을 내게 됐다.

아울러 이번 회담 계기 양국은 사회보장협정에 서명, 양 국민이 자국 내 연금 수급 조건 산정시 상대국 내 거주기간을 합산하도록 해 연급의 수급권을 보장받을 수 있게 됐다. 한국은 아시아 국가 중 최초로 이 협정을 체결했다.

또 양국은 청년 기업인 교류 사업을 추진, 워킹 홀리데이를 확대하고 한국인 대상 뉴질랜드 전문직 비자 제도도 활성화 하기로 했다. 또 농촌지역 청소년의 뉴질랜드 어학연수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등 인적교류도 확대해 나가기로 협의했다.

강 장관은 최근 한반도 정세 및 우리의 대북정책에 대해서 뉴질랜드 측에 설명했다. 이어 뉴질랜드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에 확고한 지지를 보내주고 있는 데 대해 감사의 뜻을 표시하면서, 지속적인 지지와 협력을 요청했다.

피터스 장관은 우리 정부의 정책과 구상에 대한 지지 입장을 재확인하고, 뉴질랜드가 유엔 대북제재 이행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동참하고 있다고 설명하면서 북한 및 북핵 문제에 적극 기여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양측은 지역정세에 관해 심도있게 의견을 교환했다. 동아시아정상회의(EAS),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등 지역 협의체 내에서 유사 입장 국가로서 지속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뿐만 아니라 우리 신남방정책과 뉴질랜드의 신태평양정책(Pacific Reset)간 조화와 시너지를 추구하면서 태평양도서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개발협력 사업의 공동 추진도 모색하기로 했다.

강 장관과 피터스 장관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및 인권이사회 등 국제기구 관련 긴밀히 공조해 나가기로 했고,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및 기후변화기금(GCF) 등을 통한 양국간 기후변화 대응 공조에 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
.

뉴질랜드 외교장관의 공식방한은 5년 만에 이루어진 것으로, 지난주 레디 뉴질랜드 총독의 방한, 지난해 12월 문재인 대통령의 뉴질랜드 국빈 방문을 통해 조성된 양국 우호협력 분위기에 더욱 탄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