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도·태안·울진·고성 등 4곳서
해양치유센터 시범사업 진행중
젊은층 겨냥한 휴양관광 개발도
해양치유센터 시범사업 진행중
젊은층 겨냥한 휴양관광 개발도
100대 국정과제이자 5대 해양 핵심산업인 해양치유산업을 담당하는 해양수산부 안준영 해양레저관광과 사무관(사진)의 바람이다. 안 사무관은 "바닷물(해수)은 미네랄 성분이 풍부해 몸을 담그면 신진대사가 활발해지고 노폐물이 배출되면서 피부는 건강해지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며 "해수풀 입욕을 넘어서 해수풀에서 즐기는 재활운동, 노르딕워킹, 해변 요가, 해조류 식단 등 권역별 특성에 맞는 시설 조성, 관광코스와 연계상품 개발까지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9일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해양수산신산업 혁신전략 보고회의에서 해양치유 관광을 5대 핵심 해양신산업 중 하나로 육성하겠다는 정부 발표가 있었다.
정부는 해양치유 산업을 고령친화 사업인 '웰니스산업'의 하나로 발전시켜 나가기로 했다.
웰니스(wellness)란 웰빙(well-being)과 행복(happiness), 건강(fitness)의 합성어다. 국내 웰니스산업 규모는 약 75조원으로 추산되지만, 해양치유는 아직 걸음마 단계다.
현재 해양치유센터 시범사업을 진행하는 곳은 전남 완도, 충남 태안, 경북 울진, 경남 고성 등 4곳이다.
주요 타깃은 '액티브 시니어'로 불리는 중장년층이다. 안 사무관은 "본인 건강에 관심이 많지만 골프, 등산 외에는 스트레스를 완화할 만한 즐길거리가 많지 않은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체류하면서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상 중"이라고 밝혔다.
안 사무관은 해양치유산업의 성패를 묻자 '흥미로운 콘텐츠'를 발굴하는 데 달렸다고 했다. 해양치유 하면 해수탕이나 찜질방 등을 꼽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지역대표 해양자원이나 배후지역 특성을 활용한 치유서비스를 개발하고, 전문화된 시설을 구축해 차별화된 모델을 구축하는 등 해양치유 사업모델 획일화를 방지할 계획이다.
예를 들어 전남 완도는 지역 대학병원과 연계한 치유 및 재활 프로그램 구축을, 충남 태안은 서울·수도권과 가까운 지정학적 장점을 겨냥해 젊은 층을 위한 피부미용과 스트레스 완화 등 휴양관광에 집중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경남 고성은 인근 통영, 거제 근로자들이 많은 만큼 기업과 연계한 프로그램도 만들 계획이다.
사람들이 찾아가는 '해양치유 체험마을'을 만들기 위해선 무엇보다 숙박시설, 편의시설 등 인프라 구축이 필수다. 해수부는 거점지역 이외에도 '어촌뉴딜 300' 사업지나 어촌체험마을 중 우수 해양치유자원이나 환경을 갖춘 곳을 해양치유 특화형으로 조성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다. 안 사무관은 "해양치유 특화형 마을로 콘셉트가 잡히면 기존 숙박시설들의 특화형 펜션 숙박시설 개선을 정부나 지자체가 돕고 그 대신 숙박비를 낮추는 방안 등을 지자체, 지역 주민과 협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해양치유산업 전문인력 양성계획도 마련했다. 안 사무관은 "기본적으로 해양치유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전문성을 갖춰야 한다고 본다"며 "이를 위해 해양치유사와 해양치유지도사 등 자격제도도 마련해 전문가를 육성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