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주택 규제에 이사도 못 갔다… 인구이동 47년만에 ‘최저’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1.29 11:59

수정 2020.01.29 18:04

통계청, 2019 국내인구이동통계
작년 주택거래 5만건… 전년比 6%↓
매년 10만명 안팎 서울 인구 순유출
지난해 절반 가까이 줄어들어
고령화, 2030 인구 감소도 영향
인천 중구, 작년 인구 순유입 1위
주택 규제에 이사도 못 갔다… 인구이동 47년만에 ‘최저’
국내 인구이동률이 1972년 이래 최저로 떨어졌다. 정부가 지난 2018년 발표한 9·13 부동산대책의 영향으로 주택 거래량이 급감한 탓이다. 고령화에 따른 20~30대의 인구 감소도 원인이다. 서울시의 인구 순유출 규모는 2010년 이후 매년 10만명 안팎을 유지해왔지만, 지난해에는 절반 수준으로 꺾였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19년 국내인구이동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이동자 수는 총 710만4398명으로 1년 전보다 19만2701명 감소했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의미하는 인구이동률은 13.8%를 기록했다. 지난 1972년(11.0%) 이후 47년 만에 최저치를 다시 썼다.

장기적 관점에서 인구이동률이 감소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추세다. 우리 국내 인구이동률은 1989년 21.9%, 1999년 20.0%, 2009년 17.1%, 2019년 13.8%로 감소했다. 이동을 가장 활발하게 하는 20~30대 인구수가 줄어든 게 주요인이다. 경제성장률이 둔화되고 교통·통신이 발달했다는 점도 인구이동률을 낮추는 원인이다.

다만 지난해 인구이동률이 0.4%포인트 하락하며 14% 밑으로 떨어진 배경엔 9·13 부동산대책이 있다는 분석이다. 인구이동률은 지난 2018년 3년 만에 증가세(2015년 15.2%→2016년 14.4%→2017년 14.0%→2018년 14.2%)로 돌아섰다가 지난해 다시 감소세로 전환됐다.

이는 주택 매매거래량 자체가 지난해 대폭 감소했기 때문이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통상 인구이동의 가장 큰 사유는 '주택'에 의한 전입사유가 가장 많은데, 지난해 '주택' 사유에 의한 이동자 수가 가장 크게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주택을 사유로 이동한 인구수는 1년 전보다 약 16만3000명 감소했다. 이동사유 중 '주택'을 이유로 꼽은 인구 비중도 2018년 40%에서 38.8%로 줄었다.

김 과장은 "지난해 주택 매매거래량이 감소한 것은 아무래도 9·13 부동산대책 영향이 크다"고 강조했다. 지난 2018년 9월 13일 정부는 종합부동산세를 강화하고 다주택자의 주택담보대출을 제한하는 등의 초강력 부동산대책을 발표했다. 실제로 지난해 신규입주예정 아파트 물량은 약 5만3000건으로 전년 대비 11.6% 감소했다. 지난해 주택 매매거래량은 약 5만1000건으로 전년 대비 6% 줄었다.

이 영향으로 서울시의 인구 순유출 규모도 크게 줄었다. 서울시는 2015년 13만7256명, 2016년 14만257명, 2017년 9만8486명, 2018년 11만230명 등 매년 10만명 안팎의 인구 순유출을 기록해왔다. 그런데 이 순유출 규모는 지난해 4만9588명으로 절반 가량 줄었다. 김 과장은 "경기 지역의 주택 물량이 감소하다보니 서울에서 경기도로 이동하는 인구가 감소했다"고 언급했다.

한편 지난해 전국에서 인구 순유입이 가장 많이 일어난 시군구는 인천 중구다.
영종하늘도시 신주택단지가 건설되면서다. 반면 인구 순유출이 가장 많이 일어난 시군구는 대구 서구였다.
주변 지역인 달서구 대곡지구와 북구 연경지구로 인구가 대거 빠져나가면서다.

ktop@fnnews.com 권승현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