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국가안보전략연구원 김호홍 수석연구위원은 '북한의 코로나19 대응 :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북한은 노동신문 등 매체를 통해 주민들에게 주요국가 감염자 수와 방역대책, 세계보건기구(WHO) 발표 내용 등 해외동향을 연일 상세히 전파하고 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김 연구위원에 따르면 에볼라, 메르스, 코로나19 발생에 따라 북한이 국가비상조치에 들어간 것으로 보이는 시점부터 1개월간의 노동신문 보도 내용을 비교해 보면 코로나19 관련 보도가 76건으로 가장 많았다. 에볼라 사태 시에는 국가비상방역체계로의 전환 이후 1개월간 보도 건수가 총 20건이었고, 메르스 사태 시에는 7건이었다.
내용 면에서도 차이가 크다고 김 연구위원은 주장했다. 메르스 때에는 남한 내 감염병 확산 동향을 소개하면서 우리 정부를 비방하는 선전 소재로도 활용했다.
하지만 이번 코로나19 관련 보도에서는 해외 주요국의 동향과 개인위생 방법 관련사항 뿐 아니라 WHO 권고사항, 북한 각 기관 및 지역 방역활동 상황을 소개하고 있다.
또 북한은 코로나19 국면을 정상외교의 소재로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모습이다.
코로나19 발발 초기 북중국경 폐쇄 직후 중국에 김성남 노동당 제1부부장을 파견해 위문 서한과 지원금을 전달했다. 문재인 대통령에게는 코로나19 사태를 위로하는 친서를 보냈기도 했다.
김여정 당 제1부부장 담화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코로나19 방역에 협조할 의향을 전달했음을 공개하고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개인적 친분을 과시하면서 북미관계 개선을 위한 미국의 태도변화를 촉구했다.
김 수석연구위원은 "김정은 위원장이 정책 실패에 따른 리스크를 안고 코로나19 방역에 직접 나선 것은 상황 발생 1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방역에 어느 정도 자신감을 가졌기 때문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면서 "강력한 통제를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면 이를 자신의 치적으로 충분히 내세울 수 있다는 계산이 섰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격리 및 해제 인원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서 내부 감염자가 없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는 것은 정면돌파전을 추진해 나가는 국면에서 내부적으로는 인민들의 동요를 차단하고 대외적으로는 전략적으로 유리한 입지를 만들어 나가려는 의도"라고 분석했다.
psy@fnnews.com 박소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