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가족 사회에서 봉쇄조치 효과 떨어져...대부분 일용직 '생계유지' 어려워
【베이징=정지우 특파원】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봉쇄 조치가 오히려 아프리카 주민들에겐 전염 확대와 기아까지 양산할 우려가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0일 보도했다.
SCMP에 따르면 지난 17일 아프리카 케냐 수도 나이로비의 빈민촌 키베라에서 수천명의 주민이 식량 배급장소에 한꺼번에 몰려들면서 수십명이 부상을 당했다.
이 사건은 대부분 일용직 노동에 의존하는 주민들이 코로나19로 외부 활동을 하지 못한 데에 따른 것이다. 같은 날 기준 아프리카는 1만9000명 이상이 코로나19에 감염됐으며 이 가운데 900명 보다 많은 이가 사망했다. 아프리카에선 44개국 이상이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부분적 혹은 총체적 폐쇄, 야간 통행금지, 학교 폐쇄 등의 통제를 시행하고 있다.
이로 인해 남아프리카공화국, 라이베리아, 모리셔스, 튀니지, 르완다, 레소토, 우간다, 짐바브웨 등 최소 20개국 수백만명의 사람들이 집을 나서지 못하고 있다. 아프리카 최대 빈민촌인 키베라에서 일어난 이날 사건은 많은 아프리카 국가의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고 SCMP는 분석했다.
문제는 이러한 봉쇄가 전염병 확산 방지에 도움이 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아프리카는 대가족 중심 사회이기 때문에 스스로 격리하기가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렵다.
하지만 이 같은 상황에서도 국가의 강력한 통제가 이어질 경우 생계유지마저 어렵게 되는 등 경제적 고통을 받을 수도 있다고 SCMP는 전문가를 인용해 밝혔다.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WB)은 17일(현지시간) 공동 성명을 통해 “아프리카는 기초위생 상태가 매우 나쁜데다 인구 다수가 열악한 의료 조건에 있어 코로나19가 더 치명적이고 광범위하게 확산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하페즈 가넴 WB 아프리카 부총재는 ‘아프리카 펄스’ 보고서에서 “코로나19 팬데믹이 세계적으로 사회경제적 한계를 시험하고 있는 가운데 아프리카 나라들은 특히 타격을 받을 수 있다. 우리는 가용한 모든 자원을 동원해 사람들의 즉각적인 건강과 생존 필요를 돕는 한편 장기적으로 생계와 일자리를 보전하는 데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고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전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