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산업硏 "코로나19 단기는 유동성, 장기는 글로벌 공급망 유턴필요"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4.30 14:00

수정 2020.04.30 14:00

[파이낸셜뉴스]
산업硏 "코로나19 단기는 유동성, 장기는 글로벌 공급망 유턴필요"

코로나19로 전세계적 공급망이 영향을 받고 있는 가운데 단기적으로는 세제혜택 및 유동성 확대로 기업의 흑자 도산을 막고, 장기적으로는 제조공장의 유턴 지원 강화와 공급망 다변화 전략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더불어 국내 수요 창출 및 국제협력을 통한 신속한 통관절차 지원 등 국내외를 아우르는 전방위 대책이 필요하다는 조언이다.

산업연구원은 29일 '코로나19가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 보고서에서 "코로나19로 인한 국가별 생산과 교역 정체로 글로벌 가치사슬에 영향을 주고 공급망 구조변화를 촉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과거 글로벌 공급망 구축과 생산거점이 시장접근성과 노동 비용 절감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면 코로나19 사태 이후 감염병에 의한 이동 제약 가능성이 새로 대두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각국의 핵심산업 공급망 자립화, 생산기반 리쇼어링, 디지털 전환과 산업지능화 등이 촉발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IMF는 올 4월 중순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당초 3%에서 -3%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 연구원 역시 하반기까지 사태가 지속될 경우 자동차, 조선, 기계, 철강, 화학 등 기간산업 전반이 5%p 이상 수요가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및 디스플레이 산업은 수요 감소와 가격하락 이중고로 인해 수출액도 큰 폭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우리 기업이 해외에서 생산하고 있는 제품 역시 지역간 물류이동 제한과 수요감소로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가전, 섬유, 반도체, 이차전지 등이 해당한다. 원유가 급락으로 국내 정유업체의 이익 하락폭도 크게 늘고 있다.

연구원은 "단기적으로 산업생태계 피해 최소화를 위해 제반 세제혜택 및 유동성 확대로 기업들의 흑자도산을 방지하고, 글로벌 수요위축 감소분을 보완하기 위한 내수를 창출해야 한다"며 "동시에 글로벌 이동성 복원을 위한 신속한 통관과 해외 마케팅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장기적으로 제조공장의 유턴 지원 강화 등을 통해 국내 생산기반 확충해 글로벌 공급망 확대 위험성을 제어하고, 스마트 제조화 및 공급사슬 구조개선을 통해 국내 산업생태계의 강건성과 복원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글로벌 각국과 함께 무역, 통상 문제를 통한 측면지원과 온라인 기반 비즈니스 및 스마트 가전 등 유망산업에 대한 투자 등으로 신성장동력을 마련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hwlee@fnnews.com 이환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