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재료값 떨어져 재생 수요 급감
재활용업계 수출도 끊겨 도산위기
정부, 공공비축·가격연동제 추진
유가 하락 후폭풍이 재활용품 업계에 휘몰아치고 있다. 폐플라스틱 수요가 줄어들면서 재활용품 업계가 도산 위기에 처했다. 재활용품 수거 대란이 발생할 가능성도 대두된다. 정부는 폐플라스틱 공공비축 등 시장 안정화를 모색하고 있다.
재활용업계 수출도 끊겨 도산위기
정부, 공공비축·가격연동제 추진
3일 환경부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수요 감소로 국제유가가 하락하면서 원유가 원재료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페트) 신규원료 가격이 3월 기준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5.5% 하락했다. 페트는 페트병의 재질로 투명하고 가벼운 플라스틱으로 재활용도 가능하다.
신규원료 가격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폐플라스틱 수집업체는 비상이 걸렸다. 신규원료 대비 재생원료는 가격인하 폭이 작기 때문이다. 같은 기간 재생원료 판매단가는 14% 하락했다. 수요처 입장에서는 재생원료를 살 유인이 줄어든 것이다.
코로나19로 인한 전반적 수요 하락도 문제다. 우리나라 폐플라스틱 업체는 국내 수요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등으로 수출 비중이 높다. 맹성호 한국페트병재활용협회장은 "지난 3월부터 미국 등으로 수출이 완전히 끊겼다"고 토로했다.
대체재 가격 하락과 수요 부족으로 업계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4월 28일 기준 판매된 페트병 재활용제품은 1만1673t으로 지난해 평균 판매량인 1만7606t에 비해 3분의 2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재고도 쌓이고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4월 첫째주 1만8784t이었던 페트병 재고는 같은 달 넷째주 현재 2만2643t으로 약 한달 만에 4000t가량 늘어났다. 재고가 쌓이면 업체들이 페트병 등의 수거를 거부하는 재활용품 수거 대란이 발생할 수 있다.
정부에서는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해 선제적 대응방안을 내놨다. 환경부는 지난 22일 '재활용품 수거체계 안정화 대책'을 내놓고 페트병을 비롯한 폐플라스틱 공공비축을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고품질 재생원료로 재활용이 가능한 페트병을 중심으로 공공비축을 하기로 했다. 또 저품질 중심인 재활용 시장의 체질개선도 유도해 나갈 방침이다.
공공비축과 함께 재활용품을 수거하는 아파트를 대상으로 가격연동제를 적용키로 했다. 가격연동제는 재활용품의 가격변동이 큰 경우 민간수거업체가 공동주택에 지급하는 재활용품 매각대금(연단위 계약)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일부 업체의 수거 거부를 막기 위한 방침이다. 지난해 2·4분기 계약이 이뤄진 경우 매각대금의 39.2%를 하향 조정하도록 권고했다.
beruf@fnnews.com 이진혁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