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정지우 특파원】미중 무역분쟁의 불씨가 되살아날 조심을 보이면서 그 배경을 두고 다양한 추측이 나오고 있다. 표면적으론 코로나19 발원지를 놓고 벌어지는 공방이지만, 그 이면에는 ‘미국 원유산업의 위기’를 돌파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는 해석이 제기된다. 또 코로나19로 수출길이 막힌 미국산 대두가 원인 중 하나라는 분석도 있다. 중국은 미국산 대두의 주요 수입국이자, 세계에서 가장 많은 양의 원유를 수입하고 있다.
6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3일(현지시간) 1차 무역협상 파기를 경고하면서 ‘중국이 약속을 이행하지 않는다면’이라는 전제를 달았다.
중국이 약속한 것은 서비스 379억달러, 공산품 777억달러, 농산물 320억달러, 에너지 524억달러 등 4개 부문에서 2000억달러(약 245조원) 상당의 미국산 제품을 향후 2년 동안 구매하는 것이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지난해 말 중국을 덮친 이후 경제상황은 악화일로였고 중국 내외부에서 약속을 이행할 수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대두됐다.
1차 합의문 가운데 미국이 특히 주목하는 것은 에너지와 농산물 분야로 알려졌다. 미국은 셰일가스 생산량이 늘어난 이후 국제적으로 목소리를 높일 수 있는 수준의 산유국 반열에 올랐다. 그러나 코로나19 파장으로 원유가격은 급락했고 미국내 에너지 업계도 대량 실업이 우려되는 등 직격탄을 맞았다.
미국이 우선 선택한 것은 원유의 감산이다. 미국은 자국의 감산 추진에 이라크·아랍에미리트(UAE)의 감산 합의에 OPEC+(OPEC과 10개 주요 산유국의 연대) 외 산유국의 참여도 요구했다. 원유 생산량을 줄이면 자연스럽게 가격의 폭락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는 계산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저유가로 미국의 에너지 업계 근로자가 일자리를 잃게 된다면 무엇이든 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그는 지난 대선에서 에너지 업계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으며 이에 대한 화답으로 세계의 반발에도 불구, 자국 에너지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왔다.
미국은 다른 한편으로 수출을 타깃으로 삼았고 중국이 눈에 들어왔던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은 올해 1분기에만 1억1400만달러어치의 석유와 기타 광물연료를 미국에서 수입했다. 러시아에선 113억달러, 사우디아라비아에서 107억달러 규모를 구입한 것과 대조된다.
그러나 이 같은 중국의 석유 등 미국산 에너지 수입량은 지난해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중국은 코로나19 타격으로 공장의 생산을 멈췄고 근로자들은 일손을 놓았다. 올해 중국의 미세먼지 농도가 예년에 비해 대폭 개선됐는데, 이 덕분이라는 해석도 나왔었다.
익명을 요구한 중국 국영 석유회사의 한 임직원은 SCMP에 “석유 수요의 약화가 미국산 석유를 한정적으로 구매한 근본적 이유”라고 말했다.
코로나19로 미국산 대두 수출이 막힌 것에서 원인을 찾는 의견도 있다. 중국이 올해 1분기 수입한 미국산 대두는 전년대비 210% 증가한 218억8000만달러(780만t) 규모다. 미국산 전체 농산물 수입 규모 355억6000만달러 중 77.8%다.
하지만 코로나19가 미국 등으로 확산되고 세계 교역이 난관을 겪으면서 미국은 3월 2주동안 중국에 대두를 수출하지 않았다. 4월 마지막 주에는 1년 전의 10분의 1 수준에도 못 미치는 1만375t에 불과했다.
이런 가운데 미국이 코로나19 책임론에 동맥국의 동참을 요구하고 있다고 미국 CNN 방송이 보도했다. CNN은 미국이 정치적으로 중국에 대한 공세를 이어가는 데는 미국 내 각종 여론 조사에서 반중 여론이 높게 나타난 것이 이유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이런 미국의 공세에 대해 같은 날 “중국은 무역협상 타결에 있어서 코로나19 대응에 어려움을 겪는 미국보다 시급하지 않다”면서 “중국은 2단계 무역협상을 무기한 연기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