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종목▶
한국파스퇴르연구소, 췌장염 치료제 '나파모스타트 메실레이트' 연구결과 공개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지난 13일(한국시간) 이미 허가됐거나 개발 단계의 약물 중에서 코로나19 환자 치료에 적용 가능한 약물을 찾는 '신약 재창출' 연구결과를 국제 생물학 분야 아카이브 'bioRxiv'에 올려 전세계에 공개했다. 이 약물은 지난달 국내 식약처에서 임상시험을 승인해 기대가 더 커지고 있다.
FDA는 에볼라 바이러스 치료제인 렘데시비르가 지난 4월 임상실험에서 코로나19 치료에 획기적 성과를 보였다며 이달 1일 긴급 사용 허가를 내줬었다. 한국파스퇴르연구소에서 나온 연구결과를 봤을때 향후 나파모스타트가 렘데시비르보다 더 유력한 치료제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폐세포 실험에서 6000배 줄었다
한국파스퇴르연구소가 지난 3월 22일에 공개한 연구결과는 베로세포, 즉 동물세포를 이용했지만 이번에는 인간의 폐세포인 Calu-3를 이용해 결과를 얻었다.
연구진은 연구논문에서 "나파모스타트가 코로나19에 감염된 Calu-3 세포에서 베로세포를 사용했을때보다 바이러스를 약 6000배 감소하는 것은 아마도 Calu-3 인간 폐 상피 세포에서 TMPRSS2 의존적 바이러스 유입의 지배적인 역할 때문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연구진은 "이는 나파모스타트가 Calu-3 세포에서 렘데시비르보다 약 600배 더 강력함을 나타낸다"고 말했다.
나파모스타트는 지난 3월에 발표한 연구에 포함되지 않았었다. 연구진은 바이러스 스파이크 당단백질을 내뿜는데 필요한 숙주 단백질 분해 효소인 TMPRSS2가 코로나19 항바이러스 개발의 표적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한 후 베로세포와 Calu-3 세포 사이에서 이 약의 항바이러스 효능을 비교했다.
응혈은 코로나19 환자에서 복잡하게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다. 연구진은 나파모스타트가 바이러스 유입을 차단하는 항바이러스뿐만 아니라 급성 호흡곤란증후군과 자주 연관된 혈전을 제거하는 항응고제로서도 이중적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나파모스타트 메실레이트가 일본과 한국에서 10년 넘게 사용 승인을 받았기 때문에 임상 2상, 3상에 이어 코로나19에 쉽게 용도 변경할 수 있다고 말했다.
생체내 동물 모델은 항바이러스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선호되는 실험 시스템이다. 연구진에 따르면, 동물 모델을 쉽게 구할 수 없을 때 항바이러스 효능 평가를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베로세포 외에 인간의 폐세포를 이용한 체외 시험이 실행 가능한 선택이다.
연구진은 베로세포와 Calu-3에 적용해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약물들을 용량-반응곡선(DRC) 분석 실험한 결과 클로로퀸과 로피나비르, 렘데시비르의 차이가 나타났다.
클로로퀸과 로피나비르의 효력은 각각 약 10배, 약 2배 감소했지만 렘데시비르는 베로 세포 실험보다 오히려 10배 증가했다. 연구진은 "이러한 불일치는 클로로퀸, 로피나비르 및 렘데시비르를 사용한 수많은 임상 실험의 다른 결과를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뉴지랩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국민 생활안전 긴급 대응 연구사업'에 공동연구기업으로 참여해 '나파모스타트'를 기반으로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을 위한 약물재창출 임상시험에 나선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