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S(Switching On-line), 온라인 소비가 늘어나는 게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의 특징으로 꼽혔다. 유통 업종을 중심으로 오프라인 중심 소비가 온라인화되고 있다. 지난 3월 유통 업종 내 온라인 소비 비중은 65%로 두 달 전인 1월보다 7%포인트 늘었다. 또 공연·영화 업종 중에서는 넷플릭스, 왓챠 등 ‘OTT 서비스’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3월 해당 서비스 이용금액은 지난해 12월부터 올 2월까지 평균 이용금액보다 20% 증가했다.
그 다음으로 홈라이프를 뜻하는 H(Home-life Sourcing)다. 코로나19 사태후 시민들이 외출을 꺼리고 주거지역 내에서 소비를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재택근무,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시청, 여의도 등 오피스 지역의 제과 업종, 생활 밀착업종의 이용률은 34%까지 줄었고, 북가좌, 상계 등 주거지역에서의 해당 업종 이용률은 12%까지 늘었다.
O(On-going Health)는 건강과 위생을 뜻한다. 3월 의류 관리기, 건조기, 공기청정기 등 건강·위생 관련 상품 소비가 직전 3개월 평균 소비보다 늘었다. C(Changing Pattern)는 패턴 변화다. 시간·연령별로 고정돼 있던 구매 방식이 다양한 형태로 변화했다는 것이다. 온라인 소비가 늘며 소비 패턴에서 기존보다 시간과의 관계가 약해졌다. 또 특정 분야에 국한됐던 '드라이브 스루' 서비스도 수산시장, 백화점, 약국 등에 적용돼 확산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K(Knowing Digital)는 디지털 경험이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외부활동이 줄어듦에 따라 디지털 경험이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3월 5060세대의 온라인 결제 이용액은 전월보다 12%포인트 늘었다. 2030세대의 문화로 인식되는 디지털 경험이 전 연령대로 확대된 것이다.
king@fnnews.com 이용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