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정치

美, 中 해커 코로나19 백신 해킹으로 기소..대화 가능성은 남겨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7.22 13:47

수정 2020.07.22 13:47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코로나19 정례 브리핑을 하고 있다.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코로나19 정례 브리핑을 하고 있다.AP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코로나19와 지적재산권 문제 등으로 중국과 대립해온 미국 트럼프 정부가 이번에는 미국의 백신기술 탈취 혐의로 중국인 2명을 기소하며 대(對)중 압박 수위를 높였다. 트럼프 정부는 동시에 중국과 협력 가능성을 열어 놓고 완전한 관계 단절을 피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들에 따르면 미 법무부는 21일(현지시간) 발표에서 34세 중국인 해커 리샤오위와 33세 둥자즈가 최소 2009년부터 미국을 포함한 10개국에서 해킹 활동을 벌여 불법 정보를 유통했다며 11개 혐의로 기소한 공소장을 공개했다. 2명의 중국인은 중국 청두전자과학기술대학교에서 공부한 기술자로 현재 중국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법무부는 2명이 중국 국가안전부(MSS)의 지원을 받아 첨단 기술 및 제약, 방산 기업을 노린 해킹을 저질렀고 특히 미국 기업들의 코로나19 백신 관련 연구를 노렸다고 주장했다.
공소장에 의하면 최소 13개 미국 업체가 피해를 입었으며 이 가운데 최소 4곳은 코로나19 백신을 연구하던 곳이었다.

법무부는 피해 기업들의 상호와 해킹이 성공했다는 증거를 제시하지는 않았다. 다만 법무부는 용의자들이 MSS의 지원을 받아 계약 형태로 해킹을 저질렀다고 지적했다. 해커들은 홍콩 민주화인사들의 e메일과 비밀번호를 MSS에 건네주기도 했고 미얀마 인권단체에 침입하기 위해 MSS의 악성 소프트웨어를 이용하기도 했다.

존 디머스 미 법무부 국가안보담당 차관보는 "중국은 러시아와 이란, 북한과 같이 사이버 범죄자들에게 피난처를 제공하는 부끄러운 나라가 됐다"면서 해커들이 노린 지적재산 가운데는 코로나19 백신 정보도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우리는 이미 백신 개발 분야에서 정상급 연구진을 갖춘 선도 국가이며 연구를 훔칠 필요가 없다"고 반박했다. 이어 "중국 역시 모든 종류의 사이버 공격과 절도 행위에 분명히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제약업체 캔시노는 지난 20일 코로나19 백신 2단계 임상실험이 성공했다고 밝혔고 미국 모더나와 영국 아스트라제네카 등도 3단계 임상실험을 시작했거나 코앞에 두고 있다. 미 언론들은 트럼프 정부가 출범 이후 줄곧 중국의 지적재산권 절도와 사이버 공격을 규탄했다며 코로나19 백신과 관련해 대중 압박을 높였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트럼프 정부는 중국과 일말의 타협 가능성을 열어 놨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21일 진행한 코로나19 브리핑에서 백신 개발을 위해 중국과 협력할 생각이 있느냐는 질문에 "우리는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라면 누구와도 손잡을 생각이 있다"고 말했다. 같은날 마크 에스퍼 미 국방장관도 영국 싱크탱크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 주최로 열린 특별 화상회의에서 중국을 방문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남중국해 영유권을 두고 중국과 대립해 온 에스퍼 장관은 "중국과 충돌을 원치 않는다"며 건설적인 소통을 위해 "중국 측 인사에게 연말까지 방중하고 싶다고 언급했다"고 덧붙였다.

pjw@fnnews.com 박종원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