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일반

정부, 블록체인 혁신 금융 '디파이' 활성화 방안 찾는다

김소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8.21 08:34

수정 2020.08.23 15:32

KISA, 블록체인 혁신금융 서비스 연구조사 진행
디파이 활용 가능성 탐구 및 사업진행 계획 수립
"분산금융 실체 파악해 정부차원에서 산업 선도"
[파이낸셜뉴스] 정부가 블록체인과 가상자산을 활용한 분산금융 서비스(디파이, De-Fi)를 국내 시장에 적용하고, 시장을 키울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에 나선다.

최근 총 예치금액이 7조원을 돌파하며 연초 대비 9배 이상 규모가 확대된 디파이 서비스를 국내에 적용하고, 산업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정책대안이 마련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블록체인·가상자산을 활용한 혁신금융 서비스 연구에 나선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블록체인·가상자산을 활용한 혁신금융 서비스 연구에 나선다.

2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나라장터를 통해 '블록체인 기반 혁신금융 생태계 연구조사를 위한 용역' 입찰을 실시한다. KISA는 이번 연구조사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뿐만 아니라 실제 가상자산을 활용한 금융 서비스 구현까지 향후 국내 디파이 산업조성을 위한 선제적 대응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KISA 측에 따르면 올해부터 내년까지는 국내외 디파이 생태계 연구 및 동향조사, 주요국 법·제도 비교 등 산업마련을 위한 구체적 전략을 수립하고, 실제 정부차원에서 디파이 사업을 추진하는 시점은 2022년께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KISA는 내달 4일 용역 제안서 평가를 거쳐 최종사업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총 7500만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본 사업은 오는 12월까지 추진된다.

과제 수행업체는 국내외 디파이 및 블록체인 핀테크 서비스에 대한 현황조사 후 이를 토대로 국내 디파이 사업선도를 위한 제언을 담은 연구보고서를 작성하게 된다.

탈중앙화된 금융 서비스 디파이는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각 금융당사자가 중개자없이 직접 거래할 수 있는 새로운 금융 서비스다.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동일한 정보를 각자 분산저장함에 따라 해당 플랫폼 상에서 정보 위변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에 은행 등 전통금융기관이 제공해야만 했던 '제 3자에 의한 신뢰'를 블록체인 기술만으로 대체할 수 있게된 것이다.

이에 따라 디파이 영역에선 사용자의 가상자산 지갑이 은행계좌 역할을 하고, 스테이블코인(가치안정화폐)이 지폐를 대신한다. 주요 디파이 서비스는 가상자산 담보대출, 예치이자, 결제, 파생상품, 자산운용, 거래대행 등이 있다.
현재 국내에선 대형 가상자산 거래소를 중심으로 가상자산 금융 서비스 전문업체들이 속속 등장하는 등 산업 기반이 마련되는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srk@fnnews.com 김소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