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 이정태 교수, MIT 요엘 핑크 교수와 공동연구
다중물질 열 인발공정 이용해 슈퍼캐패시터 섬유 제작
기존 직물기계 이용해 천 만들고 3D 프린팅으로 안경 만들어
다중물질 열 인발공정 이용해 슈퍼캐패시터 섬유 제작
기존 직물기계 이용해 천 만들고 3D 프린팅으로 안경 만들어
경희대 식물·환경신소재공학과 이정태 교수는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 요엘 핑크 교수와 세계 최초로 '다중물질 열 인발공정'을 이용한 슈퍼캐패시터 섬유를 만들었다고 9일 밝혔다.
연구진은 실제로 이 슈퍼캐패시터 섬유로 직물기계를 이용해 천으로 만들고 3D 프린팅을 이용해 안경테를 만들었다. 또 일반섬유와 LED 섬유까지 혼합해 불이 켜지는 직물도 만들었다.
이렇게 만든 직물은 3.0V에서 1㎠당 306㎼h의 에너지 밀도와 1.6V에서 13,000 사이클에 걸쳐 100% 정전용량을 유지했다. 또 이 직물을 100회 이상 세탁을 해도 성능을 유지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기술은 길이가 긴 소재를 열과 함께 잡아당겨 소재의 단면적을 축소시키는 '다중물질 열 인발공정'이다.
연구진은 다중물질 열 인발공정에 들어가는 슈퍼캐패시터 섬유용 프리폼을 만들었다. 열에 의해 유동성을 갖지만, 상온에서는 유동성을 갖지 않는 열가역성 젤 전극과 전해질을 개발했다. 이를 이용해 산소와 수분을 잘 투과하지 않는 고분자 피복재, 고분자 금속 복합 집전체, 열가역성 전극 젤, 그리고 전해질 젤을 특정 구조로 배열해 프리폼을 완성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프리폼에 열을 가하면서 잡아당겨 실 뽑듯이 뽑아내 슈퍼캐패시터 섬유를 만들었다.
이 교수는 "이렇게 하면 프리폼 내의 구조와 소재가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굵기만 얇아져 천으로 만드는데 쓸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향후에도 MIT와 공동연구를 통해 차세대 전극 소재를 도입한 섬유 에너지 저장 소자를 연구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온라인판에 4일자로 게재됐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