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경제효과 83조, 3만TEU급 초대형 항만 부산에 들어선다

이환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11.17 10:00

수정 2020.11.17 17:47

37조 투입 2030년 진해신항 구축
항만·물류 완전 디지털화 추진
부산에 3만TEU(1TEU=6m 컨테이너)급 초대형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스마트 항만이 2030년 운영을 시작한다. 해양수산부는 '2030 항만정책 방향 및 추진전략'을 발표하고 2026년까지 광양항에 자동화 테스트베드 구축, 2030년까지 부산 제2신항을 완전 스마트 항만으로 만들 계획이다. 또 부산, 인천·서해, 평택·당진, 울산·동해 등을 권역별 특화 항만으로 개발할 예정이다.

■2030 항만정책 청사진 나왔다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17일 국무회의에 참석해 전국 항만 중장기 비전과 개발계획을 담은 '2030 항만정책 방향과 추진전략'을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항만 정책의 큰 틀은 크게 3가지로 △2030년까지 항만물류 디지털화·지능화 실현 △권역별 특화된 항만개발 △항만과 지역 간 상생 등이다.

해수부는 2030 항만정책 이행에 따른 생산유발 효과 83조원, 일자리 55만개(건설일자리 포함) 창출 효과를 추정했다.

항만 자동화 디지털화는 먼저 5490억원을 투입해 광양항에 2026년까지 테스트베드를 구축할 계획이다. 부산항 제2신항은 2022년 착공에 들어가 2030년부터 국산화 자동화 기술을 도입해 운영한다.
부산 제2신항 명칭은 주민 건의에 따라 '진해신항'으로 명칭을 확정했다.

문 장관은 "4차 항만 기본계획으로 총 37조원이 투입될 예정으로 정부 예산과 민간이 절반씩 부담할 것"이라며 "작년 기준 부산항 컨테이너 물동량이 2200만TEU인데 2030년까지 3000만TEU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인천 대중국 화물, 제주는 크루즈 관광 육성

해수부는 국제적 공급체계 변화에 대응하고 국내 항만 간 안정적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지역별로 특화된 항만개발 전략을 마련했다.

먼저 부산항 제2신항은 동북아 물류 중심지로 위상을 굳히고, 광양항은 아시아 최고 스마트 복합항만으로 운영한다.

인천·서해권은 대중국 수출입 화물처리를 위한 물류거점항으로 육성한다. 평택·당진항은 자동차, 잡화 등 수도권 산업지원항만으로, 목포항은 서남권 지역 산업거점항만으로 키운다. 제주는 여객·크루즈 관광 중심항으로 육성하고 울산·동해권은 신북방 에너지 및 물류 전진기지로 육성할 계획이다.

■일자리 손실 최소화, 지역상생 강조

해수부는 스마트 항만 도입에 따라 생길 수 있는 일자리 손실 최소화를 위해 노조 측과도 꾸준히 협의할 계획이다. 기존 인력의 직무전환을 위한 기술 교육, 이전배치, 부두 간 고용승계 등을 노사정협의를 거쳐 반영할 계획이다.

지역 항만과 상생을 통해 지속가능성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노후되고 유휴화된 항만 공간 재개발을 통해 지역 경제, 산업, 문화 거점으로 전환한다. 부산항 북항(2단계)과 인천내항 1·8부두 항만재개발 사업 등을 포함해 총 14개 항만 부지에 재개발을 추진한다.


지역 일자리 창출을 위해 부산·울산·광양항에 LNG 벙커링 터미널, 부산항·평택·당진항에 수리조선소, 인천항에 전자상거래 특화구역 조성을 추진해 지역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계획이다.

hwlee@fnnews.com 이환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