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문화일반

한국어 교육 목표와 방향성, 국가 수준에서 제시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11.27 08:47

수정 2020.11.27 08:47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

[파이낸셜뉴스]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이 다중언어·다중문화의 시대를 맞아 다양한 교육 현장에서 적용·변용 가능한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을 제정했다.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은 다양한 교육 현장과 학습자를 모두 포괄할 수 있는 최상위 교육과정이다. 한국어 의사소통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요소인 ‘주제’, ‘기능’, ‘맥락’, ‘기술 및 전략’ 등 6개 요소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구성 요소’로 설계하고, 이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의 목표와 성취기준을 기술했다. 동 성취기준은 6개 등급(1급~6급, 6급: 최상위)으로 분류하여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별 세부 목표를 설정했다.

국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국민과 재외동포로 한정되었던 과거와는 달리 한국어 학습자가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인도(7월)와 러시아(10월)의 한국어 교과목 채택, 지난 17일 2020년 베트남 세종학당 워크숍 중 베트남 정부의 한국어 교과목 채택 계획 발표 등에서 한국어 교육 환경이 더욱 다양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은 다중언어주의와 상호문화주의 관점을 반영하여, 한국어를 학습하는 다양한 언어문화 환경에서 이용할 수 있게끔 했다. 특히 최근 한국어 교과목을 채택하는 국가가 늘어남에 따라, 문체부와 국어원은 현지 정부의 요청을 받아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현지 언어와 문화 및 교육 정책을 반영한 교육과정, 교재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 7월 중등학교 제2외국어 교과목으로 한국어가 채택되어 많은 관심을 받았던 인도의 한국어 교육과정은 국어원이 개발 중이며 내년 초 완성될 예정이다. 향후 국내외 한국어 교육계에서 국가, 나이, 문화 등 다양한 학습자 특성에 맞춘 특별 교육과정, 교재 및 평가 체계를 개발할 때, 동 교육과정을 표준으로써 활용하리라 기대된다.

문체부와 국어원은 2010년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 개발 연구’를 기반으로 표준 모형을 개발했다.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은 유럽, 미국 등 국외의 언어 교육과정의 내용 및 구성을 비교·참조하였으며, 개발 이후에도 후속 연구를 추진해 다양하게 활용된 바 있다.


이번에 발표하는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은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 및 관련 전문가들이 수행한 후속 연구의 결과물이다.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올해 상반기 한국어 교육계 전문가가 참여하는 연구를 추진했고, 지난 7월에는 비대면으로 의견을 수렴하여 내용을 정비했다.
이번 고시는 외국어 또는 제2언어로서 한국어를 교수·학습하는 목표를 제도상 처음으로 선언한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yccho@fnnews.com 조용철 기자

fnSurvey